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최신 국가 환경계획

제1차 자원순환기본계획(’18~’27)

by 은하수다방 2021. 2. 17.
728x90
반응형
SMALL

1차 자원순환기본계획(’18~’27)

 

1) 수립배경 및 필요성

경제성장과 인구증가로 자원 고갈과 함께 환경적·경제적 지속가능성 문제

채취-생산-소비-폐기로 이루어지는 선형 경제구조를 순환형으로 전환

폐기물 처분 중심에서 재활용 촉진으로 발전해 왔으나, 여전히 폐기물 발생 이후 사후관리 위주의 정책으로 인해 폐기물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

우리 경제·사회구조를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자원순환형으로 전환하기 위한 국가 전략을 담은 자원순환기본계획(’18~’27)을 수립 추진

 

2) 비전·목표

자원의 선순환으로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실현

- 원단위 폐기물발생량 20% 감축, 순환이용 극대화(70.382%), 최종처분 최소화(9.13%)

 

3) 전략

생산-소비-관리-재생등 자원 전 과정 순환이용 체계 구축

폐기물 발생 저감을 최우선으로 하고, 고품질 물질 재활용 촉진

국민 참여 거버넌스에 기반한 지역별 폐기물 처리 최적화

 

4) 단계별 세부 추진계획

(1) 생산단계 : 자원효율적 생산구조 확립

업종별 자원생산성 제고

자원생산성 향상 : 주요 자원별(금속류 유기화합물), 업종별 물질흐름 분석을 토대로 제조업 등 18개 업종별 자원생산성 산정 및 중장기 관리목표 수립

목표 이행을 위해 생산 전 과정 진단을 통해 자원·에너지 손실을 저감하는 자원효율관리시스템(REMS) 보급·확산 등 산업계 지원체계 도입

 

생산단계 폐기물 원천감량 촉진

사업장 성과관리 : 폐기물 다량배출 사업장별 맞춤형 자원순환 목표 설정·관리

기술 개발·확산 : 폐기물 감량 R&D를 추진하여 우수기술 반영 및 가이드라인 마련

 

자원순환성을 고려한 제품 설계

자원순환형 생산 확산 : 재활용 용이성·내구성·수리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기준 및 인센티브 제도 마련

재활용 현장 조사를 통해 재활용이 어려운 제품은 순환이용성 평가·개선권고

 

(2) 소비단계 : 친환경 소비로 폐기물 발생 최소화

생활 속 폐기물 발생 억제

1회용품 사용억제 : 대체가능 제품이 있는 1회용품 사용을 단계적으로 금지·다회용품으로 대체 추진

불필요한 과대포장 최소화 : 친환경 포장재로 대체, 과대포장 억제, 마트의 이중포장 제한 강화

음식물쓰레기 감량 : 감량 효과가 큰 RFID 종량제 방식 지속 확대

 

자원 효율적인 친환경 소비 촉진

친환경 소비 확산 : 재활용제품 공공구매 활성화(공공기관 녹색구매비율 증가), 녹색매장 확대, 재사용 네트워크 구축 등 친환경 소비 확산

자원효율성 정보 제공 : 제품별 자원 소모량(자원발자국), 재활용 용이성등 자원효율성 정보 제공 확대로 소비행태 변화 유도

 

자원순환 문화 조성 및 확산

전 국민 참여 유도 : 국민 실천협의회 및 전국 자원순환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범국민 실천 캠페인 추진, 이행상황 모니터링

 

(3) 관리단계 : 지역 거버넌스를 통한 처리 최적화

배출·수거·선별 체계 혁신

분리배출 개선 : 공동주택·단독주택·농어촌 등 지자체 별 여건에 따라 현지주민 참여에 기반한 최적 분리배출 모델 마련·확산

수거·선별 효율 개선 : 지자체 공공관리 강화로 수거 안정성을 제고, 폐기물 자동선별 시스템 현대화 등으로 버려지는 잔재물 발생 최소화

 

폐기물 직매립 제로화 및 처리 최적화

직매립 제로화 : 매립·소각되는 폐기물에 처분부담금을 부과·징수하여 매립되는 양을 줄이고, 단계적으로 직매립 금지 확대 추진

지역별 처리 최적화 : 지역주민·시민단체·전문가 등이 포함된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공공·민간 처리시설을 연계한 폐기물 최적 처리방안 마련

처리시설 정비 : 기존 매립지 정비 및 노후 소각시설 현대화 등 효율 개선으로 기존 시설 수명을 최대한 연장하여 신규 시설 설치수요 억제

 

유해폐기물 안전관리 강화

IT 기반 과정 관리 : 폐기물 처리상황을 실시간 추적·관리하여 불법행위를 원천 차단하도록 폐기물 수집·운반차량 GPS 부착 확대

유해폐기물 안전처리 : 폐농약 등 생활 속 유해폐기물, 수은폐기물, 의료폐기물 등에 대한 별도 처리체계 구축, 발생 저감 등 안전관리 강화

 

(4) 재생단계 : 고부가가치 물질 재활용 촉진

미래 고부가가치 재활용 촉진

미래 폐자원 재활용 기반 : 민간 재활용 시장이 조성되어 있지 않은 전기차 폐배터리, 태양광 폐모듈 등 미래 폐기물에 대한 재활용 기반 구축

재활용제품 품질 제고 : 재활용제품 품질 제고를 위해 폐기물 발생부터 자원화까지 전 과정에 대한 중장기 R&D 추진, 재생원료 별 품질기준 마련

 

물질 재활용 중심의 재활용체계 개선

재생원료 사용 촉진 : 건설폐기물로 만든 순환골재 의무사용 비율 확대, 플라스틱(폐비닐 등자동차·전자제품 등의 재활용율 제고

폐자원에너지 효율화 : 각각 처리되던 음식물류 폐기물·하수슬러지·가축분뇨 등 유기성 폐자원의 병합처리 확대로 바이오가스화 효율 개선

 

재활용 시장 안정화 및 산업 육성

재활용시장 안정화 : 재활용시장 전담 관리기구를 설치하여 폐기물 적체 우려 시 비축사업, 긴급융자 등 상황에 맞는 시장 안정화 조치 실시

영세 재활용산업 육성 : 영세 재활용 사업자에 대한 시설 설치 자금 등 융자 확대, 유관 기관 합동으로 재활용 제품의 해외 개척 지원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