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1. 목적
⦁ 전국 하천의 수생태계 건강성 실태 및 중장기적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주요 환경정책의 효과분석 및 정책수립에 활용
※ 법적근거 :「물환경보전법」 제9조의3(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2. 평가체계
⦁ (조사지점) 전국 주요 하천의 3,035개 지점
⦁ (조사주기) 일반지점(2,814개)은 3년*(매년 약 938개씩), 상시지점(221개)은 매년 조사
* 단, 식생은 6년 주기로 조사, ‘15년까지는 모든 지점을 매년 조사
구 분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18 | '19∼'21 |
지점 수 | 640 | 720 | 800 | 880 | 960 | 960 | 960 | 960 | 3,035 | 3,035 |
⦁ (조사항목) ➀ 부착돌말류, ➁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약칭 저서동물), ➂ 어류, ➃ 수변식생, ➄ 서식 및 수변환경
⦁ (조사횟수) 부착돌말, 저서동물, 어류는 연 2회(봄, 가을), 수변식생, 서식 및 수변환경은 연 1회(봄∼가을)
⦁ (수행기관) 국립환경과학원
⦁ (평가방법) 종 다양성 및 풍부도, 하천의 물리적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각 항목별 5등급*으로 평가
* 매우좋음(A), 좋음(B), 보통(C), 나쁨(D), 매우나쁨(E)
평가지표 | 고려요소 | 평가등급 | |||||
매우좋음 (A) |
좋음(B) | 보통(C) | 나쁨(D) | 매우나쁨 (E) |
|||
수생 생물 |
TDI (부착돌말지수) |
부착조류의 상대밀도, 부착조류 종들의 오염민감도 등 | 90≤〜≤100 | 70≤〜<90 | 50≤〜<70 | 30≤〜<50 | 0≤〜<30 |
BMI (저서동물지수) |
저서동물 출현개체수, 오탁도에 대한 내성치, 지표가중치 등 | 80≤〜≤100 | 65≤〜<80 | 50≤〜<65 | 35≤〜<50 | 0≤〜<35 | |
FAI (어류생물지수) |
국내종의 종수 및 개체수, 영양단계 구조, 내성도 특성 등 | 80≤〜≤100 | 60≤〜<80 | 40≤〜<60 | 20≤〜<40 | 0≤〜<20 | |
하천 환경 |
RVI (수변식생지수) |
수변식생 종수, 외래종 우점면적비율, 식생단면도 등 | 65<〜≤100 | 50<〜≤65 | 30<〜≤50 | 15<〜≤30 | 0≤〜≤15 |
HRI (서식수변환경 지수) |
저질상태, 횡구조물, 하천변폭, 종횡사주, 하도 자연성 등 | 80<〜≤100 | 60<〜≤80 | 40<〜≤60 | 20<〜≤40 | 0≤〜≤20 |
3.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항목
⦁ (부착돌말류) 돌(기질)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조류로, 하천생태계의 1차 생산자
- 넓은 범위의 오염구배에 적응하며, 부영양화 평가에 가장 효율적
⦁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물속 바닥에 서식하는 무척추동물로 하천생태계의 1∼2차 소비자
-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고 지표성이 뛰어나 유기물오염의 평가지표로 많이 활용
⦁ (어류) 다양한 영양단계의 잡식성, 초식성, 충식성, 육식성을 대표하는 수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위단계에 있는 척추동물
- 장기적인 환경영향 및 광범위한 서식지 상태를 반영
⦁ (수변식생) 하천과 인접한 곳에서 주기적으로 범람에 영향을 받으며 하천변에 출현하는 모든 식물로, 1차 생산자
- 하천 주변의 입지적 특성을 잘 반영
⦁ (서식·수변환경)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외부환경
4.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 지수
⦁ (부착돌말지수) 영양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종(부착돌말류*)의 오염민감도, 상대풍부도 등을 지수화하여 계산
- 영양염에 민감한 부착돌말류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건강성이 높게 평가
⦁ (저서동물지수) 유기물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물종(저서동물)의 출현도, 지표가중치 등을 지수화하여 계산
- 유기물 오염에 내성이 강한 저서동물이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건강성이 낮게 평가
⦁ (어류평가지수) 서식하는 어류의 풍부도(총개체수), 서식환경변화 반응(여울성 종수, 민감종수, 내성종 및 잡식종 개체수 비율, 비정상종 개체수 비율)을 하천차수에 따라 점수화하여 계산
⦁ (수변식생지수) 일년생 초본의 우점면적 비율, 외래종의 우점 면적 비율, 습지식물 균등도 등을 평가하여 계산
⦁ (서식수변환경지수) 하천의 지형과 물리적 특성 및 수변의 환경상태를 반영하는 10개 평가항목을 리스트화한 기준점수의 총합
5.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등급
평가지표 | 세부항목 | 평가등급 | |||||
매우좋음(A) | 좋음(B) | 보통(C) | 나쁨(D) | 매우나쁨(E) | |||
수생 생물 |
TDI (부착돌말지수) |
부착조류의 상대밀도, 부착조류 종들의 오염민감도 등 | 90 이상 | 70 이상 | 50 이상 | 30 이상 | 30 미만 |
BMI (저서동물지수) |
저서동물 출현개체수, 오탁도에 대한 내성치, 지표가중치 등 | 80 이상 | 65 이상 | 50 이상 | 35 이상 | 35 미만 | |
FAI (어류생물지수) |
국내종의 종수 및 개체수, 영양단계 구조, 내성도 특성 등 | 80 이상 | 60 이상 | 40 이상 | 20 이상 | 20 미만 | |
하천 환경 |
RVI (수변식생지수) |
출현종수 및 전체 식생 피복면적, 수변식물 전체 생육 면적 | 65 초과 | 50 초과 | 30 초과 | 15 초과 | 15 이하 |
HRI (서식수변환경지수) |
종횡사주, 하천변 폭, 하안공, 횡구조물, 제방하안 재료, 제외지 및 제내지 토지이용, 저질상태, 하도 자연성, 유속 다양성 | 80 초과 | 60 초과 | 40 초과 | 20 초과 | 20 이하 |
※ ‘서식․수변환경’ 분야는 이화학적 수질, 수량 등과 함께 수생생물의 건강성을 변화시키는 주요인이므로, 원인규명 및 하천의 물리적 여건 개선방향 설정 시 활용
<참조 : 생태하천복원사업 업무추진 지침, 환경부>
'환경정책 > 생태계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태하천복원사업 수생태계 복원계획 수립 (0) | 2021.11.09 |
---|---|
생태하천복원사업 기본방향 및 문제점 (0) | 2021.11.09 |
기후변화에 의한 생태계 피해 예측 (0) | 2021.04.09 |
식생보전등급 (0) | 2021.02.22 |
자연환경보전 정책 평가지수중 DPSIR 및 SEBI (0) | 2021.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