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성 종합평가

환경용량평가

by 은하수다방 2021. 2. 17.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용량평가

1. 정의

환경용량평가는 평가대상의 지역적 범위, 산정지수의 특징, 그리고 활용용도에 따라 분류되며, 활용용도에 따른 범위는 다음의 5가지로 나뉜다.

 ① 정책방향 및 목표설정 을 위한 현 상태의 환경용량평가

   • 주로 대도시, 국가, 지구차원에서 수행된다.

   현재의 인구 및 경제규모, 복지수준을 유지 하는 데에 있어 현재의 자연시스템 수용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평가한다.

   이 결과를 통해 정책의 방향 및 목표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다 .

 

 ② 개발사업의 개발용량 제시를 위한 환경용량평가

   개발사업을 총량적으로 규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적정 개발용량을 제시하기 위해 환경용량평가가 활용된다

 

 ③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환경용량평가

   특정지역의 오염물질 배출을 총량적으로 규제하기 위해서 오염배출권거래제도를 활용하여 해당 지역의 산업체 신규진입을 규제하거나 싱가폴과 같이 시내로 진입하는 자동차를 총량적으로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④ 지역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환경용량평가

   지역의 수자원, 산림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어획량 쿼터제, 채벌 쿼터제 등을 실시할 때 활용

 

 ⑤ 역사문화지구 및 관광지의 지속가능한 시설 이용을 위한 환경용량평가

   주로 관광위락시설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입장객 제한, 자연환경 보전을 감안한 개발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2. 환경용량 평가 체계
1) 에머지와 생태발자국 시범평가 결과 및 접근 방식의 비교
    에머지와 생태발자국은 공통적으로 사회경제계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요소가 자연환경으로부터 제공된다는 사실에 기반하지만, 방법론이 가지는 근본적인 접근 방식에서 차이를 보이며 산정 방식이나 기준, 활용 자료, 지표 등에서도 차이를 보임
    에머지 개념은 사회경제활동을 하나의 블랙박스로 간주하고 사회경제계로 투입되는 모든 요소를 고려하는 반면, 생태발자국은 사회경제계에서 소비되는 재화를 기준으로 해당 소비량을 위해 필요한 생산토지의 양을 평가

<에머지와 생태발자국 접근 방식 차이, 출처-KEI>


2) 다양한 규모를 고려한 평가 체계
    에머지와 생태발자국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가, 지역, 개인, 재화 규모의 환경용량평가
    환경용량 평가 절차는 각 규모에서 평가대상이 되는 시스템의 개념모델을 마련하고, 자료를 이용하여 에머지와 생태발자국 관련 환경용량을 산정한 후, 평가결과를 이용하여 지표를 산정함으로써 정책적으로 활용
    개인 단위의 평가는 국가나 지역 단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지수를 산정하는 방식과 개인 소비패턴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산정하는 방식으로 나뉘며, 향후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방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정책 활용방안 탐구 필요
    접근방식의 차이를 고려하여 결과값이나 지표의 의미를 다르게 해석

 

3. 환경용량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1) 에머지와 생태발자국 관점의 환경용량 개념 차이 이해
    에머지는 환경시스템 전체의 온전성(integrity)이 갖추어져야 환경 서비스를 적절히 제공할 수 있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환경시스템 전체를 유지하는 데 투입된 자연자원이 환경용량 산정의 기준이 됨(사회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가장 넓은 의미의 환경용량)

    생태발자국은 소비재화를 중심으로 하는 직접적인 환경 서비스를 다루고 있어 환경시스템 중에서도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토지가 곧 환경용량(생태수용력)을 산정하고 생태발자국을 산정하는 기준이 됨(사회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가장 좁은 의미의 환경용량)

2) 지속가능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
    지속가능 시나리오와 관련하여 온전한 환경시스템 규모, 인구, 생활수준은 트레이드오프 관계로 환경용량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 제공
    투입되는 재생자원의 에머지를 환경시스템 온전성 유지의 기준으로 설정하고, 현재 인구와 생활수준을 지탱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경시스템이 얼마나 더 필요한지, 혹은 현재 인구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시스템 규모와 생활수준이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 등 지속가능성을 위한 정책 방향 분석 가능
    환경용량과 관련해서는 보전지역을 확대하고 도시에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하는 방안 고려
    생활수준 축소는 현재의 생활수준을 위해 공급되는 재화나 인프라 생산의 효율성을 높여 자원 이용을 줄이고, 소비습관을 개선해 환경에 부담이 적고 자원을 덜 활용하는 방향으로 소비패턴을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소비자들의 소비패턴 변화는 곧 산업계의 생산패턴 전환으로 이어져 전반적으로 환경 이용을 줄여가는 방향으로 변화

3) 국가 및 지역 단위 평가 결과 활용
    환경용량 평가를 바탕으로 이용 비율이 높은 외부 유입 재화나 원자재 유입 특성과 대체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내부 공급이나 대체 방안을 담은 다양한 시나리오를 비교·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계 마련
    경제, 사회, 환경의 국가별 자료를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 수준을 구분하고 우리나라가 추구할 환경 지속가능성 목표와 방향을 설정
    지역의 개발 정도와 환경보전에 대한 가치 인식, 미래비전 등을 토대로 지역별 환경용량의 시간적 변화에 비추어 지속가능성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 활용
    거버넌스에서 지방자치 성격이 강해지면서 각 지역마다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점을 고려하여 에너지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삶의 전환에 무게를 두는 전환도시를 구상하는 데 환경용량 개념과 평가 결과 활용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현황 평가 과정에서 지역 스스로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환경용량 평가를 실시하고 지속가능 환경을 위한 적정 인구규모나 생활수준, 혹은 보전지역의 확대 계획 마련
    자연자원총량제 관련 지역의 보전 총량 목표를 설정하고 자연환경 훼손과 상쇄의 정량화 과정에 환경용량 개념과 평가 결과 적용
    환경계정의 지표 중 하나로 환경용량과 관련한 지표 이용

 

4) 개인 및 재화 단위 평가 결과의 교육적 활용
    환경용량 평가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양방향 시스템을 개발하여 일반시민의 지속가능 소비습관 개선 및 초중고 학생들의 지속가능 교육을 위한 도구로 활용
    개인이 소비하는 재화가 어떤 자원을 통해 만들어지는지, 또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교육적 효과 극대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