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D(Low Impact Development)
1) 개요
∙자연의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하여 개발하는 것을 의미하며, 토지이용계획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할 종합적 토지계획과 저류, 침투, 여과, 증발산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개별 기술요소로 구분할 수 있음.
구 분 |
전통적 빗물관리 |
새로운 빗물관리(LID) |
명 칭 |
중앙집중식 빗물관리 |
분산형 빗물관리 |
기본방향 |
빗물을 빠르게 집수하고 배제 |
빗물을 발생원에서 머금고 가두기 |
계획목표 |
개발 후 첨두유출량 증가의 감소 |
개발 후 총 유출량 증가의 감소 |
주요시설 |
빗물펌프장, 저류지 |
소규모 침투 및 저류시설 |
한 계 |
물순환 장애 및 건천화 |
집중 호우시 효과의 한계 |
2) 배경
∙도심홍수,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강우 등으로 도시물순환 체계에 대한 개선 필요성 대두
∙도시지역 비점오염원은 발생원에서의 관리가 최적의 대안이라는 판단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제도 도입 이후 4대강 수계 비점오염저감시설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
장치형 시설에 비해 자연형 시설이 효율 및 유지관리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결론 도출
3) 저영향개발(LID)기법의 종류 및 적용시 고려사항
(1) 저류형 시설(저류지)
∙강우유출수의 집수, 저류 및 배수를 조절하는 저류시설의 하나로 강우유출수를 저류시킨 후 중력침전 및 생물학적 과정으로 오염물질을 저감하는 시설
∙지하수위가 지표에 인접하여 있어 침투기능 확보가 불가능하거나, 매립지, 성토지 등 지반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경우 설치에 신중하여야 함
∙계절에 따른 최고 지하수위나 기반암의 깊이와 침투율을 고려
∙불규칙한 경사도는 지양하며, 경사도는 15%미만
(2) 인공습지
∙침전, 여과, 흡착, 미생물 분해, 식생 식물에 의한 정화 등 자연상태의 습지가 보유하고 있는
정화능력을 인위적으로 향상시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시설
∙습지로의 유입수로 경사는 15% 이하, 유로경사는 0.5∼1.0%로 함
∙습지 유입구에서 유출구까지의 유로는 최대한 길게 하고, 길이 대 폭의 비율 2:1 이상
∙효과적인 강우 저류를 위해 인공습지 전체 면적 중
50%는 얕은 습지(0∼0.3m), 30%는 깊은 습지(0.3∼1.0m), 20%는 깊은 못(1∼2m)로 구성
(3) 침투형 시설(투수성 포장, 투수성 블록, 침투도랑, 침투통, 침투트렌치, 침투 측구, 침투저류지)
∙침전물로 인하여 토양의 공극이 막히지 아니하는 구조로 설계한다.
∙침투시설 하층 토양의 침투율은 시간당 13mm 이상이어야 하며, 동절기에 동결로 기능이 저하되지 아니하는 지역에 설치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고 지하수위 또는 기반암으로부터 수직으로 최소 1.2m 이상의 거리를 두도록 한다.
∙침투도랑, 침투저류조는 초과유량의 우회시설을 설치한다.
∙침투저류조 등은 비상시 배수를 위하여 암거 등 비상배수시설을 설치한다.
(4) 식생형 시설(수목여과박스(침투화분), 식생수로, 식생여과대)
∙길이 방향의 경사를 5% 이하로 한다.
∙식생이 안정화되는 기간에는 강우유출수를 우회시켜야 한다.
∙식생수로 바닥의 퇴적물이 처리용량의 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침전된 토사를 제거
∙침전물질이 식생을 덮거나 생물학적 여과시설의 용량을 감소시키기 시작하면 침전물을 제거
∙동절기(11월부터 다음 해 3월까지)에 말라 죽은 식생을 제거·처리한다.
4) 환경영향평가에서의 적용방안
∙환경영향평가 과정의 협의 또는 검토시 토지이용계획별 적용 가능한 저영향개발(LID)기법의 적용과 사후환경영향조사서 검토시 이행내용을 점검
'환경정책 > 수질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순환 선도도시 (0) | 2021.02.11 |
---|---|
녹조현상, 발생원인 / 녹조발생시 국민행동요령과 녹조저감기술 (0) | 2021.02.11 |
환경부(수질)와 국토부(수량)로 나뉜 물관리를 환경부로 일원화 / 물관리 일원화 필요성, 의의, 효과, 추진시 고려사항 (0) | 2021.02.11 |
자연형 하천 정화사업의 정의, 사업목적과 내용, 대상사업 선정기준 (0) | 2021.02.11 |
비점오염원 (0) | 2021.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