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주요 상식

환경정비구역

by 은하수다방 2021. 2. 10.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정비구역

1. 개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전부터 형성되어 있는 자연마을로, 하수도 정비 등을 완료한 경우 시·도지사가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 가능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 시, 상수원보호구역 내 행위규제 일부 완화하여 적용

주택 최대 연면적 확대(100㎡→200)

일용품 소매점, 이용원 등의 신축

주택·공장의 음식점용도변경 허가(원거주민, 총 가구수의 520% 범위, 연면적 100이내)

 

2. 상수원관리규칙
- 「상수원관리규칙」 제12조(건축물 등의 종류 및 규모), 13조(건축물 등의 용도 변경)에서는 건축 행위 등의 규제를 제한합니다.
- 팔당상수원보호구역은 팔당댐 상류 그린벨트 지역 전역, 그린벨트 지역 내의 하천 및 수몰지 포함, 수도권 사업 펌프장 축조 예정지 기준으로 지정합니다.

3. 환경정비구역 지정 관련 제도
- 제14조(환경정비구역의 지정 등)에 따라, 보호구역지정 전에 형성되어 있는 자연부락으로서 하수도의 정비 및 하수처리시설의 설치가 쉬운 보호구역의 일정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 시장⋅군수의 신청 서류를 토대로 도지사는 지정된 구역을 관보하고, 도 공보 또는 일간신문에 공고하여 일반인 열람을 가능하게합니다.
- 「상수원관리규칙」 제14조의(주민의 의견 청취)에 따라 도지사는 환경정비구역을 지정하려는 경우 주민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승인합니다.
- 다양한 행위 규제 및 형질변경 등이 제한되어있으나 (「수도법」 제7조 및 「상수원관리규칙」 제14~15조), 이 중 보호구역 지정 전에 형성된 자연부락을 대상으로 하수도정비 및 하수처리시설 설치가 용이한 보호구역안 일정 지역에 대하여 환경정비계획을 수립하여 정비구역 지정으로 규제 완화를 허용합니다.
- 주택의 신⋅증축 및 용도 변경의 경우 행위 규제는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전⋅후 2배 정도 완화 효과를 허용합니다.

 

<상수원보호구역 대비 환경정비구역 규제 비교>


4. 환경정비구역 관리 실태 및 쟁점
1) 시·군별 관리 실태
-환경정비구역 지정 면적과 지목 구성 비율이 시⋅군별로 상이합니다.
-하수처리구역 확대로 인한 환경정비구역 추가 지정/변경이 지속적으로 추진합니다.
 
2) 환경정비구역 관리의 쟁점
-구역 지정 원칙의 훼손(구역 신규 및 추가 확대대상 토지 기준은 엄격하나 승인 시 포괄적 검토, 환경정비구역 신규 및 변경 시 법적 기준의 엄격성 훼손)
-구역 지정 기준의 객관성 및 형평성 확보 미흡(공공하수도 정비·하수처리시설 확장 및 유지관리 명확한 경우 지정 및 승인이 가능하나 그 세부 기준 부재, 원거주민의 자연부락 중심으로 주민 불편 최소화를 근간으로 했던 당초 제도목적에 충실한 기준 설정 필요, 환경정비구역 추가 지정의 원칙 훼손 및 세부기준의 임의 해석 우려, 환경정비구역의 무분별한 확장으로 상수원보호구역 내 외부 인구 유입 가속화 및 오염원 증가 우려)

5. 환경정비구역 관련 이해당사자 의견
- 환경정비구역 지정 이후 지속적인 구역 확장 및 추가 지정 요구가 시⋅군에 따라 지속되고 있는 과정에서 조사된 기존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이해당사자 의견을 검토합니다.

 

6. 환경정비구역 지정 및 적정 관리 방향
➀ 환경정비구역 지정 및 관리 원칙
상수원보호구역 관리의 지속가능성 유지 : 상수원보호구역 구조와 기능 보전을 통한 수질 및 수생태 보호 관점에서의 강화와 원주민 등 규제피해의 강도와 연혁을 존중하는 관리 원칙을 준수합니다.
  * 규제지역 주민의 불편 해소와 형평성 있는 관리 : 시⋅군 및 지역과 무관하게 형평성 있는 기준 적용 및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또한 환경정비구역 추가 및 신규 지정에 따라 하류지역 및 시민단체들의 상수원 관리 신뢰도 저하 등 부정적 영향을 검토합니다.

➁ 환경정비구역 지정 및 관리의 세부 기준
- 관련 제도의 운영이 야기할 쟁점 해소를 고려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또한 기존에 제시되지 않은 구역 지정 세부 기준을 제시합니다.
- 기존 제도 취지를 존중하여 기준을 강화하는 '보수적 대안'과 주민 불편 해소 및 규제 완화를 허용하기 위한 '규제완화 대안' 의 양 극단의 시나리오를 고려합니다.

7. 제도 운영 원칙과 기준
- 제도 취지에 부합하면서도 주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규제완화 수준이 바람직합니다.
- 단기적으로는 원주민 중심의 환경정비구역 제도 운용, 중장기적으로 원거주민개념을 확대하고 하수처리구역 확대에 따른 구역 조정의 단계적으로 접근합니다.
- ‘보수적 대안’은 원거주민, 대지 중심으로 환경정비구역 지정하는 것으로 구역지정의 세부 원칙을 준수하고 기초자료도 정밀하게 작성, 취합이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