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환경친화적 계획

훼손된 생태계 회복 위한 복원력(resilience) 개념 / 생태복원 유형

by 은하수다방 2021. 2. 22.
728x90
반응형
SMALL

훼손된 생태계 회복 위한 복원력(resilience) 개념 / 생태복원 유형 

 

1. 훼손된 생태계를 회복하기 위한 복원력(resilience) 개념

 1) 이전의 상태나 위치로 되돌리는 능력

 2) 훼손되지 않거나 완전한 상태로 되돌리는 능력

 

2. 생태복원의 유형

유 형

정의 및 내용

복 원

훼손된 생태계의 회복을 도와주는 과정

훼손되기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

복 구

원래보다는 못하지만 원래의 자연상태와 유사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

개 선

농사를 위해 적합한 형태로 토지를 만드는 것

저 감

오염이나 훼손을 완화시키거나 경감시키는 것

향 상

질이나 중요도, 매력 측면에서의 증진

대 체

현재의 상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생태로 원래의 생태계를 대체하는 것

개 조

건강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개조하는 것(결과보다 과정 중시)

재 생

과거의 잃어버린 자연을 적극적으로 되돌리는 것을 통해 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하는 것

 

3. 복원성 (생태학)
생태학에서 복원성(Resilience)은 자연 환경 및 생태계에서 오염이나 작은 변화가 나타났을 시 자정할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이러한 예로는 산불과 같은 화재, 홍수, 곤충 개체수 폭증 및 삼림 벌채, 외래종 도입과 같은 인위적인 활동도 포함된다. 

 

인간활동은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생물학적 다양성, 기후변화, 오염, 토지사용, 기후 변화 등이 많은 영향을 일으키고 있어서 환경 상황이 악화되는 한편 다른 활동을 필요로 하는 상황의 여건을 훼손하고 있다. 

 

복원성의 개념을 생태학에 도입한 것은 캐나다 출신의 생태학자 C.S. 홀링이 처음이었다. 그는 자연환경이 여러 변화 가능성 및 상황에 증명하면서 인위적으로 혹은 자연적으로 원래대로 돌아가는 상황을 묘사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묘사된다. 
  1) 작은 변화가 계속해서 나타난 이후 평형화를 이루고자 하는 경우, 생태계에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가
  2) 원래의 기능, 구조, 순환 등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인지하고 또한 변화 양상을 흡수해내는 능력

다른 정의는 생태학적 복원성으로 여러 가능성의 환경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고 가정한다. 

 

4.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관련 법규 검토
1) 사업추진주체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장


2) 사업대상지역
 도시생태축이 단절ㆍ훼손되어 연결ㆍ복원이 필요한 지역
 도시 내 자연환경이 훼손되어 시급히 복원이 필요한 지역
 건축물의 건축, 토지의 포장(鋪裝) 등 도시의 인공적인 조성으로 도시 내 생태면적(생태적 기능 또는 자연순환기능이 있는 토양면적을 말한다)의 확보가 필요한 지역
 도시 내 공원이나 녹지로서 지방자치단체장이 복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역


3) 사업추진방법
 (1) 사업의 재원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가 직접 확보
     필요시 국고 및 지방비 보조
      - 시․도지사가 도시생태 복원사업을 하는 경우 : 정부
      - 시장․군수․구청장이 도시생태 복원사업을 하는 경우 : 정부, 시․도지사

 

 (2) 사업계획의 수립
     사업계획 수립 주체
      -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장(시․도지사 및 시장․군수․구청장)
     사업계획 수립 내용
      -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명칭ㆍ위치 및 면적
      -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목적
      -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내용 및 기간
      -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효과
      -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재원조달계획
      - 도시생태 복원사업의 유지관리계획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