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계획/환경 주요 계획17

물 수요관리 3단계(2016~2020)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 물 수요관리 3단계(2016~2020)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 1. 수립 목적 - '수도법'에 따른 사용자 중심의 '물 수요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통한 물 수요 관리 정책의 실효성 강화 2. 계획 기간 - 2016~2020년(5년), 3차 종합계획임. 3. 대상지역 -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특별자치도, 시·도 단위의 전체 행정구역 4. 수립방향 1) 수요자의 물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계획수립 2) 물을 사용하는 모든 수도설비, 물 사용기기의 물 낭비요인 조사 및 물 사용량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지자체의 물 수요관리 정책에 반영토록 함 3) 공급수압 현실화(감압밸브 설치)에 따른 절감량을 고려 4) 물 수요관리 정책시행 성과 검증이 가능하도록 추진계획 작성 5) 홍보, 교육 등 해당 지자체 주민이 .. 2017. 3. 6.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 1. 개요 - 2016~2025년 10년동안 하천, 호소, 연안 수계 등 우리나라 전 국토에서 펼쳐지는 물환경관리 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담은 최상위 계획 - 대, 중, 소권역 물환경 관리계획,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 및 기본, 시행계획,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등 주요 물환경 관리 대책 수립의 지침서 역할 - 환경부장관이 10년마다 수립하며, 유역(지방)환경청장이 4대강 대권역계획을 수립하고, 중권역계획은 유역청장이, 소권역계획은 시장, 군수, 구청장이 수립 2. 비전 - 방방곡곡 건강한 물이 있어 모두가 행복한 세상 3. 핵심전략 1) 건강한 물순환 체계 확립 - 환경생태유량 확보 제도화 - 지표수, 지하수 통합관리 - 전 국토의 물 저류, 함량 기능 향상 -.. 2017. 2. 28.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2015~2019) 실내공기질 관리 기본계획(2015~2019) 1. 비전 - 국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실내환경 조성 2. 목표 - 2019년까지 실내공기 오염도 10% 이상 저감 3. 부분별 중점 추진 과제 1) 신규 실내오염물질 관리체계 마련 - 미세먼지 관리 강화 - 실내 라돈(Rn) 저감 - 미생물(곰팡이) 관리체계 구축 - 실내금연 관리 강화 2) 실내오염원 사전 예방적 관리 강화 - 건축자재 사전예방, 관리 강화 - 목질판상제품 관리기반 마련 - 대중교통차량의 내장재 관리 - 환기설비 유지관리체계 강화 3) 다중이용시설 등의 관리체계 합리적 개편 - 다중이용시설 관리 합리화 - 실내공기질 관리기준의 합리적 조정 - 신축 공동주택 등 주택 관리 강화 - 대중교통차량 관리 개선 - 학교, 사무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 .. 2017. 2. 28.
제1차 화학물질관리기본계획(‘16 ~ ‘20) 제1차 화학물질관리기본계획(‘16 ~ ‘20) 1. 비전 - 화학사고 걱정없는 안심사회 실현 2. 목표 ※ 화학물질 안전관리의 기반을 완비하고 사업장 안전문화를 정착 - 취급시설 안전강화 - 대, 중소기업 화학안전공동체 확대 - 지역사회 비상대응계획 수립 비율 3. 추진전략 1) 촘촘한 관리 - 취약부분과 사각지대 해소 - 현장적용성 제고 -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구축 2) 철저한 대비 - 사고대응 역량 제고 - 사고대응체계 효율화 - 화학사고 대응기술 개발 R&D 추진 3) 신속한 대응 - 화학사고 신속 대응체계 확립 - 지역별 비상대응체계 확립 - 과학에 기반한 사후조치 체계 구축 4) 폭넓은 참여 - 정보 공개와 주민 알권리 강화 - 정부-지자체-사업장 거버넌스 구축 - 사업장간 협력 제고 및 소통.. 2017. 2. 28.
빛공해 방지 종합계획(2014~2018) 빛공해 방지 종합계획(2014~2018) 1. 비전 - 안전하고 쾌적한 조명환경조성 2. 목표 - 2018년까지 빛공해 50%저감 (빛방사 허용기준 초과율 : 27%(2013년) → 13%(2018년) 3. 주요 추진과제 1) 빛공해 관리체계 구축 및 합리화 - 관리대상 조명기구 구체화 - 조명환경관리구역 지정, 운영 - 빛방사 허용기준 합리화 - 빛공해 영향평가 정착 2) 기술기반 강화 및 중장기 R&D 추진 - 조명기구 인증, 평가체계 구축 - 빛공해 측정 및 평가 시스템 개발 - 빛공해 연구센터 설립 - 빛공해 데이터베이스 구축 - 빛공해 저감 조명기구 개발 및 보급 3) 교육 및 홍보 강화 - 빛공해 방지 의식 강화 및 홍보 - 빛공해 방지 문화 정착 - 빛공해 관련 인력 양성 - 좋은 빛 환경 .. 2017. 2. 28.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