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습원
1) 정의
• 습도가 높은 냉대의 저지나 온대의 고산대에서 생성되며,
• 주요 수원을 강우나 안개에 의존, 물이끼와 이탄토양 발달이 특징
• 국내의 대표적인 고층습원은 인제군의 대암산 용늪
• 일본 오제습지(해발 2000m), 북유럽이나 사할린 평지에도 존재
<용어설명>
• 산지에서 염류의 공급이 부족한 저습(低濕) 또는 과습(過濕)한 땅에 발달하는 습원을 말하는데, 이 습원에는 물이끼류가 번성하기 때문에 물이끼습원(Sphagnum bog)이라고도 한다.
• 토양은 부식산이나 불포화콜로이드에 의해 산성화되고, 물이끼류가 습원주변보다도 중앙부에 잘 생육하며 이탄화(泥炭化)가 왕성해지고 중앙부가 높아져 시계접시를 덮은 것처럼 되기 때문에 고층(高層)이란 이름이 붙었다.
• 우리나라 중부는 해발 약 1,200m이상에서 발달하며 북쪽으로 갈수록 하한은 내려간다.
• 대암산의 고층습원은 그 좋은 예이나 지금은 많이 훼손되고 있다.
• 큰 용늪과 작은 용늪 2개가 있었으나 지금은 작은 용늪은 거의 육화되었고 큰 용늪도 많이 훼손되었다.
2) 고층습원과 저층습원의 비교
• 습원은 연중 또는 상당기간동안 물이 지표면을 덮고, 있거나 지표면 가까이에 물이 분포하는 곳
• 습원을 유지하는 물의 기원, 이탄층의 유무와 퇴적량, 식물군락의 종류 등에 의해 식생학적으로
저층습원, 중간습원, 고층습원으로 구분됨
구분 |
고층습원 |
저층습원 |
특징 |
•이탄습원, 산성습원 •연평균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풍부한 지역 •식물 고사체 분해가 느림 •약산성의 토양환경 |
•알칼리습원 •식물 고사체 분해가 빨라 부영양화 발생 •알칼리성의 토양환경 |
생성 |
•강우와 안개에 의해 수리수문체계 유지 •강우가 많은(보통 1000mm이상) 불투수층 지역 |
•지표수와 지하수 영향 •호수가 메워지거나, 지하수위의 상승 또는 지표수의 지속적인 유입 등으로 형성 |
주요 식물상 |
•물이끼류,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
•갈대, 줄, 자라풀, 마름, 노랑어리연, |
대표 사례지 |
•인제군 대암산 용늪 |
•창녕 우포늪, 고창 운곡습지 등 |
3) 오미 습원
• 오미는 평지보다 조금 얕은 곳에서 물이 늘 괴어 있는 접시 형태의 웅덩이를 의미하는 순 우리말
• 오미는 웅덩이 중에서도 저수지보다는 작으면서 바닥은 평평하고, 가장자리는 그릇처럼 쟁반형 구조
4) 나무섬, tree island
• 나무섬이란 담수습지에서 목본식생지가 패치(조각) 형태로 분포하는 것을 의미
• 이탄습지 및 기타유형의 습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확인되며 생물적 요인(동물 배설물 등에 의한 종자 유입, 식물유기체 퇴적, 식물뿌리에 의한 암석과 토양 결속) 및 비생물적요인(기반암의 지형 및 수리수문 특성)에 영향을 받음
5) 습지보호지역
• 자연생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습지 지역,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이 서식 또는 도래하는 지역, 특이한 경관·지형·지질학 가치를 지닌 지역 등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됨(국가 또는 시도지사)
•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에는 체계적인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며, 보전중심의 이용을 위해 생태탐방 및 교육의 장소로도 활용
6) 람사르습지
• 전 세계의 습지 중 중요성을 인정받아 람사르 협약 사무국에서 지정·등록하여 보호하는 습지.
• 람사르 협약에 따라 대표적이고 희귀한 습지유형 또는 종,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고려하여 지정하며, 전 세계적으로 2,303개소(169개국)의 습지가 람사르습지로 등록됨 (2018년 4월기준)
• 우리나라는 1997년 람사르 협약에 가입하였으며, 대암산 용늪(1997) 등록 이후 2016년 순천 동천하구까지 총 22개소의 습지를 람사르습지로 등록함
7) 멸종위기 야생생물
•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해 개체수가 현격히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미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
•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멸종 위기 야생생물을 지정하고 있으며, Ⅰ급 51종과 Ⅱ급 195종 등 총 246종을 지정해 관리함. (2017년 9월 기준)
8) 한국고유종
• 고유종(endemic species)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 자연적으로 생육·서식하는 생물분류군이며,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분류학적으로 종 및 아종을 뜻함
• 한국의 고유종 수는 총 2,253종(2015년 기준)이며, 관속식물 451종, 척추동물 77종, 무척추동물 560종, 곤충 1,127종, 해조류 35종, 균류 3종 등임
9)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 우리나라의 5개(중부아구·남부아구·남해안 아구·제주도아구·울릉도아구) 식물구계에 따른 종의 분포범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며, 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분포범위가 좁고 보전 우선순위가 높음
• Ⅴ등급은 극히 일부 지역에만 고립하여 분포하거나 불연속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가지며, Ⅳ등급은 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임
'환경 주요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 / 사회성 이용 유인시스템(social attraction system) /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0) | 2021.02.17 |
---|---|
생태공감마당(Ecodive) (0) | 2021.02.17 |
ABS (Access and Benefit Sharing) (0) | 2021.02.17 |
지하수오염유발시설의 종류 (0) | 2021.02.17 |
자연영감(Nature-inspired) / 생태모방기술(Biomimicry) / 생체모방(Bionics, Biomimetics) / 합성생물학 (0) | 2021.0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