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주요 상식

고층습원

by 은하수다방 2021. 2. 17.
728x90
반응형
SMALL

고층습원

 

1) 정의

습도가 높은 냉대의 저지나 온대의 고산대에서 생성되며,

주요 수원을 강우나 안개에 의존, 물이끼와 이탄토양 발달이 특징

국내의 대표적인 고층습원은 인제군의 대암산 용늪

일본 오제습지(해발 2000m), 북유럽이나 사할린 평지에도 존재

 

<용어설명>

 산지에서 염류의 공급이 부족한 저습(低濕) 또는 과습(過濕)한 땅에 발달하는 습원을 말하는데, 이 습원에는 물이끼류가 번성하기 때문에 물이끼습원(Sphagnum bog)이라고도 한다. 

 토양은 부식산이나 불포화콜로이드에 의해 산성화되고, 물이끼류가 습원주변보다도 중앙부에 잘 생육하며 이탄화(泥炭化)가 왕성해지고 중앙부가 높아져 시계접시를 덮은 것처럼 되기 때문에 고층(高層)이란 이름이 붙었다. 

 우리나라 중부는 해발 약 1,200m이상에서 발달하며 북쪽으로 갈수록 하한은 내려간다. 

 대암산의 고층습원은 그 좋은 예이나 지금은 많이 훼손되고 있다. 

 큰 용늪과 작은 용늪 2개가 있었으나 지금은 작은 용늪은 거의 육화되었고 큰 용늪도 많이 훼손되었다.

<숨은물뱅듸 습지보호지역 경관>

 

2) 고층습원과 저층습원의 비교

습원은 연중 또는 상당기간동안 물이 지표면을 덮고, 있거나 지표면 가까이에 물이 분포하는 곳

습원을 유지하는 물의 기원, 이탄층의 유무와 퇴적량, 식물군락의 종류 등에 의해 식생학적으로
저층습원, 중간습원, 고층습원으로 구분됨

구분

고층습원

저층습원

특징

이탄습원, 산성습원

연평균기온이 낮고 강우량이 풍부한 지역

식물 고사체 분해가 느림

약산성의 토양환경

알칼리습원

식물 고사체 분해가 빨라 부영양화 발생

알칼리성의 토양환경

생성

강우와 안개에 의해 수리수문체계 유지

강우가 많은(보통 1000mm이상) 불투수층 지역

지표수와 지하수 영향

호수가 메워지거나, 지하수위의 상승 또는 지표수의 지속적인 유입 등으로 형성

주요 식물상

물이끼류, 끈끈이주걱, 이삭귀개,
큰방울새란 등

갈대, , 자라풀, 마름, 노랑어리연,
삿갓사초 등

대표 사례지

인제군 대암산 용늪

창녕 우포늪, 고창 운곡습지 등

 

3) 오미 습원

오미는 평지보다 조금 얕은 곳에서 물이 늘 괴어 있는 접시 형태의 웅덩이를 의미하는 순 우리말

오미는 웅덩이 중에서도 저수지보다는 작으면서 바닥은 평평하고, 가장자리는 그릇처럼 쟁반형 구조

 

4) 나무섬, tree island

나무섬이란 담수습지에서 목본식생지가 패치(조각) 형태로 분포하는 것을 의미
 이탄습지 및 기타유형의 습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확인되며 생물적 요인(동물 배설물 등에 의한 종자 유입, 식물유기체 퇴적, 식물뿌리에 의한 암석과 토양 결속) 및 비생물적요인(기반암의 지형 및 수리수문 특성)에 영향을 받음

5) 습지보호지역

자연생태가 원시성을 유지하고 있는 국내 습지 지역,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지역, 희귀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생물이 서식 또는 도래하는 지역, 특이한 경관·지형·지질학 가치를 지닌 지역 등이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됨(국가 또는 시도지사)
 습지보호지역 지정 후에는 체계적인 보전관리계획을 수립하며, 보전중심의 이용을 위해 생태탐방 및 교육의 장소로도 활용 

6) 람사르습지

전 세계의 습지 중 중요성을 인정받아 람사르 협약 사무국에서 지정·등록하여 보호하는 습지.
 람사르 협약에 따라 대표적이고 희귀한 습지유형 또는 종, 군집의 생물다양성을 고려하여 지정하며, 전 세계적으로 2,303개소(169개국)의 습지가 람사르습지로 등록됨 (2018년 4월기준)
 우리나라는 1997년 람사르 협약에 가입하였으며, 대암산 용늪(1997) 등록 이후 2016년 순천 동천하구까지 총 22개소의 습지를 람사르습지로 등록함

7) 멸종위기 야생생물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요인으로 인해 개체수가 현격히 감소하거나 소수만 남아 있어 가까운 미래에 절멸될 위기에 처해 있는 야생생물.
 환경부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멸종 위기 야생생물을 지정하고 있으며, Ⅰ급 51종과 Ⅱ급 195종 등 총 246종을 지정해 관리함. (2017년 9월 기준)

 

8) 한국고유종

고유종(endemic species)이란 지리적으로 한정된 지역에 자연적으로 생육·서식하는 생물분류군이며,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분류학적으로 종 및 아종을 뜻함
 한국의 고유종 수는 총 2,253종(2015년 기준)이며, 관속식물 451종, 척추동물 77종, 무척추동물 560종, 곤충 1,127종, 해조류 35종, 균류 3종 등임

9)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우리나라의 5개(중부아구·남부아구·남해안 아구·제주도아구·울릉도아구) 식물구계에 따른 종의 분포범위에 따라 5개 등급으로 구분하며, 등급이 높아짐에 따라 분포범위가 좁고 보전 우선순위가 높음
 Ⅴ등급은 극히 일부 지역에만 고립하여 분포하거나 불연속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가지며, Ⅳ등급은 한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임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