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주요 상식

생태산업단지(EIP)

by 은하수다방 2017. 2. 24.
728x90
반응형
SMALL

생태산업단지(EIP)

 

1. 정의

생태산업단지(Eco Industrial Park, EIP)

- 먹이사슬로 공생하는 자연생태계의 원리를 산업에 적용하는 산업생태학을 응용한 산업단지로서 산업단지내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폐자원, 폐에너지 등을 다른 기업이나 공장의 원료 또는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도록 재자원화하여 오염을 무배출을 지향하는 산업단지

 

2. 개요

- 산업단지내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폐자원, 폐에너지 등을 다른 기업의 원료나 에너지원으로 재사용함으로써 자원효율성을 높이고 오염 물질 배출을 최소화하는 녹색산업단지로서 경제적 성과(Economic impact)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생태적 영향(Ecological impact)을 감소시킵니다.

 

 

3. 기존산업단지와 생태산업단지의 차이점

항목

기존 산업단지

생태산업단지

선정기준

경제성

경제성과 환경성

연계성

원료 및 제품위주

원료, 제품, 부산물, 폐기물, 폐에너지 등

폐기물처리

자체 또는 공동처리

원료 및 어너지원으로 재사용

관리주체

산업단지 공단

산업단지공산 + 자체조직

페기물 발생

대량발생

최소화

구성원

입찰방식

자발적 참여

사화적 이미지

오염 배출원

환경, 사회와 조화

지역사회와의 관계

항시 민원 발생

지역사회의 동참

 

4. 생태산업단지 구축사업

1) 개요

-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다른 기업의 원료나 에너지로 재사용함으로써 자원효율성을 높이고 오염을 최소화하는 녹색산업단지를 구축하는 사업입니다.

 

2) 추진경과

- ‘03.10 : 국내 생태산업단지(EIP) 구축사업 계획 수립

- ‘04. 9 :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사전 기획연구사업 실시(6개 지역)

    * 반월, 시화, 울산미포, 온산, 여수, 청주, 포항, 경남(진해, 함안, 진주)

- ‘05.11 : 포항, 여수, 울산미포, 온산 3개 지역 시범단지 사업추진

- ‘06. 2 : 반월, 시호, 청주 2개 지역 시범단지 사업추진

- ‘06.12 : 한국산업단지관리공단으로 사업전담기관 이관

    * 기존 :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 ‘09.10 : 2단계 사업추진을 위한 생태산업단지 8개 선정

    * 경기, 울산, 전남, 충북, 경북 (기존)/ 부산, 대구, 전북 (추가)

- ‘10. 5 : 생태산업단지구축사업 1단계 사업 종료

- ‘10. 6 : Hub-spoke방식의 광역EIP 체제로 확대 개편

 

5. 생태산업단지 구축효과

1) 기업측면

 - 기업에서는 물질 및 에너지 효율 증대, 폐기물 재활용 등으로 인한 생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Up business, down pollution)

 - 폐기물관리, 교육/훈련, 구매, 비상사태관리, 환경정보 등의 공유를 통한 경제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대외적인 기업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2) 환경측면

 - 오염물질의 원천감소 및 배출최소화로 환경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단위 기업위주로 청정생산체제를 도입하는 것보다 생태산업 Network 를 구축하는 것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총오염물 배출을 극소화할 수 있다.

- 자원의 효율적 사용으로 자원소비를 극소화할 수 있다.

 

3) 사회, 국가 측면

 - 외국의 일부 생태산업단지는 관광지처럼 소개되고 있어, 지역 소득증대에도 기여하고 있으며, 지역 및 국가 이미지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6. 생태산업단지 구축시 고려사항

1) 청정생산기술 개발의 잠재적 장애요인 제거 필요

 - 기업은 근본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므로, 기업과 기업간의 유기적 연계에 묶여 환경친화적인 신공정 기술개발이나 도입에  유보적인 입장을 고수할 수 있다.

 - 그러나, 생산공정에서의 원천감소가 재활용이나 재사용보다 청정생산 관점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것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생태산업 Networking 을 구성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발생하는 오염물을 원천적으로 줄여주는 프로그램(CP Assessment) 이 필요하다.

 - 사업초기단계에 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바로 한국형 EIP의 특징이 되는 것이다.

 

2) 기업-기업간의 의존성이 커져 한 기업의 운영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타 기업에 미치는 영향 증가

 - 기업간의 유기적 연관성이 커질수록 이에 따른 한 기업의 변화가 연결된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할 수 있다.

 - 한 기업의 경영변화가 다른 기업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하도록 기업간 연계가 되어야 한다.

 - EIP 구축에 참여하는 기업모두가 지속가능한 경영이 되도록 하는 것이 사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3) EIP 개발에 필요한 비용 고려

 - 개별 기업의 환경 및 경제적 이득을 고려하지 않고, EIP의 장점만 강조하여 무리하게 EIP를 개발하는 것은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원활한 운영이 어렵게 된다.

 - EIP는 1~2년 내에 구축될 수 없다.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이상이 소요될 수 있다.

 - 그 만큼 많은 예산이 필요하다. 또한 , EIP 구축에 필요한 철저한 사전계획과 준비가 필요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