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 주요 상식

환경계정

by 은하수다방 2021. 2. 17.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계정

1. 개요

UN에서 도입한 계정

환경손실(환경오염, 자연자원 감소)을 화폐가액으로 평가

국내순생산(Net Domestic Product)에서 차감하여 산출한 환경요인조정 국내순생산(Environmentally Adjusted NDP)을 추계함

 - Green GDP 라고 함.

지속가능개발의 관점에서 경제정책과 환경정책을 통합운영하는데 의의가 있음.

환경계정 분류

 - 경제주체별 : 정부, 기업, 가계

 - 오염매체별 : 대기, 수질, 토양, 폐기물, 소음진동

 - 지출형태별 : 투자, 경상, 이전

 

2. 필요성 및 기대효과
1) 필요성
 기존의 경제성장 모델에 대하여 자원고갈과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면서 경제와 환경을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개념이 1990년대 초에 등장
 - 이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경제・환경 측면을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환경경제계정(SEEA)이 국제적으로 개발・발전되어 왔음

 

 기존의 SNA가 환경비용을 고려하지 못한 반면에, SEEA는 환경비용을 감안한 경제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
 - 기후변화 대응정책과 환경 친화적인 경제성장(녹색성장) 정책을 모니터링 및 평가하는 핵심 도구로 활용
    * 자원고갈 및 환경오염 총비용의 GDP 비중, 환경보호지출의 GDP 비중 등
 - 2012년 UN은 환경경제계정(1권)을 국제통계표준으로 채택하여 각 국가에 작성을 권고하였고, 많은 선진국에서 이미 작성 중

 

2) 기대효과
 (국제대응) 기후변화와 녹색경제 측정과 같은 국제사회의 글로벌 의제에 대하여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
 (정책활용) 국토개발, 경제발전 및 환경보존의 균형적인 접근을 위한 경제 및 환경정책의 수립・평가에 활용
 (자료정비) 경제・사회 통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환경통계의 기초자료 정비 및 개선・개발을 위한 토대 마련

 

3. 그 동안의 성과와 한계점
1) 그 동안의 성과
 (통계청) 「환경산업통계조사」*를 개발하였고, 범경제물질플로우계정(EW-MFA)과 대기배출계정(Air Emissions)을 연구 중
    * ’01∼’05년까지 환경부와 공동 개발 후 ’06년에 환경부로 이관
    * 통계연구 차원에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12년부터 복원·보완 중

 

 (환경부) SEEA 및 녹색GDP 도입 중・장기 추진계획('01∼'10)을 수립・추진하였으며, 현재는 환경활동계정(환경보호지출계정*, 환경재화 및 서비스통계**)을 작성
    * 한국은행과 공동 작성(’08년) 후, ’09년부터 단독(환경정책평가연구원) 작성 중
    ** 「환경산업통계조사」 명칭으로 환경부·통계청 공동 작성(‘01년) 후, ’06년부터 단독(한국환경공단) 작성 중
 -  ‘01~’09년, 범경제물질플로우계정, 오염물질 배출계정(대기, 수계, 폐기물), 일부 자산계정(광물, 산림)을 시범작성

2) 한계점
 환경부는 ‘01년부터 SEEA 개발을 시작하였으나, 일부 계정만을 대상으로 시험작성하여 종합적인 접근을 이루지 못함
 기존 환경경제계정 개발은 연구용역 형태로 추진됨에 따라 국가통계로서의 지속성이 부족하여 통계청이 공식통계로 작성하고 종합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음
 환경경제계정은 기초자료, 작성방법, 집계방법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단계적인 개발이 요구되므로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함

 

4. 계정 체계
1) 환경경제계정과 국민계정과의 관계
 (국민계정)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소비 등 경제적인 성장 측면만 평가하는 지표

 

 (환경경제계정) 지속가능발전의 평가 도구로, 경제와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과 경제활동에 따른 환경파급효과를 분석하는 지표
 - 환경경제계정은 ’90년대에 국민계정의 위성계정으로 개발되었지만, 환경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12년에는 국제통계표준으로 채택되면서, 국민계정과는 대칭・보완 관계로 발전하였음

 

 (차이점) 환경경제계정은 국민계정과 연계성을 위하여 2008 SNA의 개념 및 체계를 차용하고 있지만, 작성방법 및 자료처리 방식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
 - 국민계정은 화폐단위로 측정하고, 환경경제계정은 물질단위로 평가(물질단위를 화폐단위로 전환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필요)

<출처 - 통계청>

2) 환경경제계정은 물적플로우계정, 환경활동계정, 자산계정 등의 하부계정으로 구성되며, 대표적인 계정은 물적플로우계정임
 (물적플로우계정)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에 투입과 배출되는 내역을 물적단위(physical units)로 측정하는 계정
  - 물적단위와 GDP(currency units)를 통합행렬표(공급・사용표)로 작성
     ⇒ 경제성과에 수반되는 환경비용을 함께 측정
 (환경활동계정) 환경에 대한 압력을 줄이거나 제거하는 활동을 화폐단위로 측정하는 계정
 (환경자산계정) 사용가능한 자원을 자산개념으로 측정하는 계정
  - 지구의 생물 및 무생물 성분을 7개 범주로 구분․작성
 (특별 계정) 에너지와 물 부문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별도로 작성하는 계정(에너지계정(SEEA-Energy), 물계정(SEEA-Water))

<출처 - 통계청>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