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지속성지수(ESI: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 세계경제포럼(WEF)이 다보스포럼에서 2~3년마다 발표하는 환경 관련 국가역량지수
• 한 국가가 환경파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능력
• WEF 산하 차세대 지도자포럼의 환경대책반이 미국 예일대학과 콜롬비아대학과 작성
• 총 72개의 변수를 사용해 20여 개의 항목으로 평가가 이루어짐.
- 평가항목 중에는 수질, 대기, 종 다양성 등 환경적인 요인 외에도 전반적인 국민소득, 과학기술능력, 국민보건, 환경규제, 민주화 정도, 생태효율성, 국제사회 기여도 등이 포함
- 즉, 환경오염 정도뿐 아니라 삶의 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지표
• ESI는 다른 국가의 경로와 비교하여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
• 평가 초점을 바꾸면서 결과지향적 지표를 사용하는 환경성과지수(EPI)라는 지수가 개발되어 대체
• ESI가 국토여건과 경제활동으로 인한 환경성을 중점평가한 지수라면, EPI는 환경측면을 고려한 경제・사회적 정책수행 성과를 평가하는 방식
•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상태, 환경부하, 지구환경기여 분야는 취약한 반면, 위해성 및 사회·제도적 대응능력 관련분야는 상위권
• 높은 인구밀도, 온실가스 배출량 과다, 물 부족 등이 평가시 불리하게 작용
환경성과지수(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 ESI는 각 국가의 환경상태 및 환경부하 등 환경상태 현황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룬다면,
• 환경성과지수(EPI)는 환경개선정도를 계량화한 지수로서
- 국가별 환경개선 노력을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
• 미국 예일대 및 컬럼비아대 가 환경, 기후변화, 보건, 농업, 어업, 해양 분야의 20여개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국가별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으며, 2년마다 세계경제포럼(WEF)를 통하여 발표
• 환경성과지수(EPI)는 환경보건, 생태계 건전성이라는 2가지의 주요 목표와 그 하위체계인 9개의 범주에 따라 20개 내외의 지표로 구성
• EPI의 주요 목표인 환경보건은 환경적 위해로부터 인간의 건강을 보호하는 것이며, 생태계 건전성이란 생태계 보호 및 자연자원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
• 환경보건과 생태계 건전성의 2가지 주요 목표는 다시 9개의 범주로 구분되며,
• 환경정책적으로 우선순위를 갖는 환경성 질병 부담, 대기보건, 물보건, 수자원, 생물다양성, 삼림, 해양/어업, 농업, 기후변화로 이루짐.
• 환경성과지수(EPI)는 단순하고 명확한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가 간 비교가 가능하여 환경에 대한 각국의 노력을 독려하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 다보스포럼(WEF)에서 발표함으로써 인지도가 높아 여러 국가에서 관심을 가지고 환경정책 수립시 참고자료로 반영하고 있다.
• 그러나 평가 체계와 과정에 일부 문제점이 제기되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대표적으로 평가 지표, 지표별 가중치, 평가 대상 국가가 자주 변경되어 일관성과 신뢰성이 부족
- 많은 국가를 평가하기 때문에 자료 가용성으로 인한 지표별 통계 기준연도가 통일되지 못함
- 과거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현재의 환경성과를 현실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
'지속가능발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클레이(ICLEI ; International Council for Local Environmental Initiatives) (0) | 2021.02.18 |
---|---|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국제적 대응 / 지구관측 그룹(GEO) (0) | 2021.02.18 |
지속가능한 국토 및 도시환경질을 유지할 수 있는 통합적 도시환경용량 분석절차, 중요결정요소 (0) | 2021.02.17 |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Korea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0) | 2021.02.16 |
지속가능발전의 개념 원칙 3대요소 / 환경영향평가제도와의 관계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