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법령/환경기준

환경지표

by 은하수다방 2021. 2. 19.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지표

 

1. 개념

- 환경상태를 정략적으로 평가하고, 환경상태나 환경정책의 추진상태를 측정하려는 것

- 하나 혹은 몇 개의 척도 형태와 대푯값 표현형태가 있음

 

2. 용도

환경계획의 추진

바람직한 환경상 설정, 정량적 목표 설정, 계획의 추진 관리, 정책의 방향성, 중점과제 도출

환경을 배려한 정책·사업추진, 개발행위 사업계획 검토, 정책효과 파악

커뮤니티 추진 : 타 부서 조정, 국민과 정보교류

환경현황 평가 : 환경현황평가, 개선 노력평가

 

3. 환경지표 종류

환경현황 파악 지표(환경기초지표, 도시공원 면적, 녹지율 등)

오염방지정책 추진지표(오염시 시스템)

자연환경정책 추진지표(녹지자연도, 생태·자연도 등)

쾌적환경 창출지표(만족도, 쾌적환경지표)

지구환경보전 기여지표(CO2 배출, 도시지속성 지표)

지속가능성 지표

 

4. 필요성

환경문제 상태변화, 다양한 상황에 대한 목표설정 필요

환경기준 보완

환경기준 설정이 곤란한 대상 증가(심리적, 쾌적성, 바람직한 기준 설정)

환경기준 달성지역의 환경질 향상 동기부여

구분

환경기준

환경지표

표현법

수치기준, 전문용어, 단어

다양한 지표, 알기 쉬운 용어·지표

의미

환경행정의 유일한 기초자료

정책목표, 정책효과 평가

평가

설정된 환경기준 초과여부

매트릭스 등 다양한 지표평가

·단점

명확한 목표치, 종합평가

환겨기준 보완, 종합적 평가

종류

수질,대기질, 소음·진동 등

환경기초지표, 도시 지속성 평가

사례

SO2 0.15ppm, BOD 1ppm이하

온실가스, 가시거리, 스모그 발생일

5. OECD의 환경지표
1) 개요
 환경지표란 환경상태의 변화와 그 추세 파악, 환경정책의 방향 제시, 환경정책 달성도 평가 및 국민에 대한 환경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주요 정책수단
 OECD는 환경지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90년 초반부터 핵심환경지표 등 각종 지표를 개발하여 각 회원국으로 하여금 각국 실정에 맞는 환경지표 개발을 권고하는 동시에 회원국의 환경성과평가시 적극 활용

2) OECD의 환경지표 개발 동향
 (1) OECD의 환경지표의 특징

     환경지표의 바탕이 되는 개념적 틀로서 압력-상태-반응(PSR) 모델을 이용
     환경지표 선택시 정책관련성, 사용자의 유용성, 분석적 건전성 및 측정가능성이라는 4가지 기준을 사용 
      - 정책관련성이란 환경상태의 변화와 이에 대한 사회의 반응을 제시할 수 있고, 국제적으로 비교가능하며, 국가적 및 지역적 차원에서도 적용가능
      - 사용자의 유용성이란 사용자들이 지표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하면서 비교할 수 있는 준거대상 필요
      - 분석적 건전성이란 기술적․과학적으로 타당하고, 국제적 합의에 근거해야 하며, 경제적 모델이나 예측 및 정보체계와 연계 
      - 측정가능성이란 항상 이용 가능하고 비용효과측면에서도 합리적인 수준에서 개발가능하며, 주기적으로 수정가능
     환경지표는 고정불변의 유일한 정책수단이 아니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국가별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

 

 (2) OECD 환경지표 종류
     핵심지표(Core Indicator)
      - OECD 회원국에 적용되고 국제적으로 이용가능한 최소한의 공통적으로 합의된 지표로서 40 내지 50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고, 환경의 질 또는 양을 기준으로 두가지로 분류될 수 있음
      - 기후변화, 오존층 파괴 등 환경용량의 사용과 관련되어 ‘환경의 질’을 다루는 지표(9개)
      - 수자원, 산림자원 등 나머지 지표는 자원의 기능과 관련되어 있으며 자연자원의 양적인 측면을 다룸

     주요지표(Key Indicator) 
      - 기존 핵심지표가 수적으로 너무 많고 포괄하는 내용도 다양하여 핵심이슈 파악이 곤란하고 국민이 이해하기에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개발되었고, 대기, 수질 등 각 분야별 핵심지표 10개로 구성
      - 이 지표는 ‘01년 개최된 환경장관회의에서 회원국 환경성과평가 등 각종 환경정책 논의에서 적극 사용토록 권고됨
     분야별 지표(Secotoral Indicator)
      - 교통, 에너지, 농업 등 환경과 밀접한 관련분야에 환경적 관심사를 통합하기 위해 최근 개발되고 있는 지표로서 각 분야 정책결정자에게 환경을 고려하도록 촉구하는데 목적이 있음
      - 이 지표는 환경지표에만 국한되지 않고 교통 등 관련분야의 환경관련지표를 포함하기 때문에 지표수가 핵심환경지표보다 많음 

     연계차단지표(Decoupling Indicator)
      - 이 지표는 경제성장과 환경오염간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차단하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각국의 지속가능발전 정도를 파악하고 OECD 환경전략의 이행정도를 평가하는 수단으로 기능
      - 대부분 지표는 핵심환경지표 또는 분야별 환경지표에서 도출됨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