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최신 국가 환경계획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18~’27년)

by 은하수다방 2021. 2. 17.
728x90
반응형
SMALL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종합계획(’18’27)

1) 배경 및 필요성

환경오염서식지 파괴기후변화 등으로 생물종 멸종 가속화

  → 생물다양성 증진 및 생태계 불균형 방지를 위해 보전대책 강구 필요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의 하위계획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 대책의 이행을 목적으로 하는 10년 단위 계획

멸종위기종 개체 증식보충 위주로 복원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서식지를 먼저 평가분석하고 개선하는 등 멸종위기종 복원의 근원적인 측면을 고려한 대책

 

2) 비전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안전한 서식처, 생명의 한반도

 

3) 전략 및 추진과제

(1) 멸종위기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 강화

서식지 보전

기후변화 대응

서식지 평가

서식지 개선

개체군 보전

 

(2) 멸종위기 야생생물 체계적 복원

복원대상종 선정

종별 복원계획 수립

서식지외보전기관 역할 강화

전문인력 양성

 

(3) 국민체감도 제고 및 협업 강화

마을 생물종 살리기 활성화

멸종위기종 보전정책위원회 운영

국가보호종 관련 부처협업 강화

남북/국제협력

 

(4) 멸종위기종 복원 컨트롤타워 구축운영

멸종위기종 복원기능 총괄조직 신설

멸종위기종 복원기능 조정 및 체계적 복원

 

 

야생생물 보호의 중요성 / 제3차 야생생물보호기본계획(16~20)의 수립배경, 특징과 비전, 추진전략, 추진과제

1) 야생생물 보호의 중요성
∙야생생물이란 산・들 또는 강 등 자연상태에서 서식하거나 자생하는 동물, 식물, 균류, 지의류, 원생생물 및 원핵생물의 종을 말함.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야생생물을 포함한 생물다양성은 심각한 속도로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우리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음.
∙더욱이 최근 자국 생물주권을 강화하는 전 세계적인 흐름을 고려할 때 야생생물을 보호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며 중요성을 갖음.

 

2) 제3차 야생생물보호기본계획의 수립배경
∙「제3차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은 ‘국가환경종합계획’ 및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등 상위계획과 연계하여 수립하는 야생생물 보호와 서식환경 보전을 위한 법정계획임.
∙‘제2차 야생동‧식물보호 기본계획('11~'15년)’의 계획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제2차 기본계획의 성과 평과와 그간 변화된 정책여건을 반영하여 「제3차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16~’20년)」을 수립함.

 

3) 제3차 야생생물보호기본계획의 특징
∙제3차 야생생물 보호 기본계획의 비전은 “야생생물의 안전한 보금자리, 생명의 한반도”로, 증가하는 위협요인으로부터 야생생물을 체계적으로 보호・관리하기 위한 추진전략과 이에 따른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음.
∙특히, 이번 기본계획에는 기후변화 대응 보호기반 구축 등 그간 변화된 정책여건을 반영한 신규과제가 추가됨.

 

4) 비전 및 추진전략


5) 세부추진과제 (17개 세부과제)

 

‘제3차 야생생물보호 기본계획(2016~2020)’ 주요과제

1) 수립배경

국가환경종합계획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등 상위계획과 연계하여 수립하는 야생생물 보호와 서식환경 보전을 위한 법정계획

 

2) 주요과제

(1) 야생생물 보호와 관리체계화

2차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 종합계획 수립·이행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 및 복원 체계화

기후변화 대응 야생생물 보호기반 확대

위해 외래생물 관리 강화

야생동물 사고 예방 및 구조·치료 확대

야생동물 질병 관리체계 구축

 

(2) 서식지 보전과 복원 강화

서식지 보호 및 체계적 관리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보전·복원 확대

국가/지자체/기업/주민이 협력하는 서식지 보호·관리 거버넌스 구축

 

(3) 야생생물종, 서식지조사, 활용체계 개선

야생생물종 조사 체계 개선

야생생물 서식지 정밀조사

DB 통합 관리 및 활용 확대

 

(4) 야생생물 보호, 관리 기반 확대

야생생물 보호·관리 기반 확충 및 네트워크 구축

야생생물 보호·관리 전문인력 육성

민간협력 및 대국민 홍보·교육 강화

 

(5) 국제협력 강화

한반도·동북아 야생생물 보호 협력 강화

국제적 멸종위기종 및 철새 보호·관리 강화

국제사회에서의 역할과 기여 확대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