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소음·진동관리 종합계획(2021~2025)
1. 수립 배경 및 필요성
• "제3차 소음·진동관리 종합계획"추진을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 기반 구축
-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목표로 교통소음 저감, 공사장 및 층간소음 관리 등의 정책을 추진하여 국민생활 여건을 개선
- 그러나 환경기준 달성률 및 소음진동 체감 만족도는 여전히 미흡하여 소음진동 대책의 개선 및 보완 필요
• 변화된 여건을 반영한 "제4차 소음·진동관리 종합계획(2021~2025)" 수립 필요
2. 계획의 위상
• "소음진동관리법"에 따른 법정 종합계획
- 5년마다 수립하는 법정계획으로 소음진동 관리비전과 정책목표를 제시하는 국가기본계획
- 향후 5년간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가 추진하는 소음진동 관리 정책의 근간 계획
3. 계획의 역할
• 소음진동 관리를 위한 국가 차원의 기본계획
- 소음진동관리 비전, 기본목표 및 추진방향 제시
- 향후 5년간 추진전략 및 세부 추진과제 제시
- 소음진동 관리를 위한 각종 사업의 세부 추진일정 제시
- 과제별 연차계획을 포함한 재원투자(소요) 계획 제시
• 제3차 종합계획의 계승, 발전
- 제3차 종합계획의 성과와 한계점을 분석하여 기존 정책 수단을 개선, 보완 및 고도화
4. 비전
• 정온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국민 삶의 질 향상
- 정온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소음진동으로 인한 건강 위해도를 저감하고 국민의 삶의 질 향상
- 제5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20~2040)의 "미세먼지 등 환경위해로부터 국민건강보호"
제2차 환경보건종합계획(2021~2030)의 "환경유해인자 노출관리" 전략과 연계 추진
5. 목표
• 소음진동 노출 최소화를 통한 삶의 질 향상
- 소음진동 국민 만족도 40% 달성
- 소음진동 노출인구 10% 감소
6. 추진 전략 및 과제
1) 건강영향 중심의 소음진동 관리 기반 구축 • 소음진동 건강영향 기초조사 • 건강영향을 고려한 소음진동 관리기반 구축 |
- 환경 소음원별, 노출 대상별 정신적(성가심 등), 신체적(심혈관계질환 등) 건강영향 정도를 분석하고, 건강영향 정도를 지표화
- 소음진동관리의 우선순위 도출 및 정책 수립에 건강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기반 구축
2) 신기술을 활용한 소음 진동 측정 선진화 • 사물인터넷을 접목한 소음진동 실시간 측정 •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음진동 실시간 관리 • 국민이 공감하는 소음진동 정보 제공 |
-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소음진동 측정을 선진화하고
- 데이터의 활용성을 제고할 수 있는 스마트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소음진동 관리에 기여
3) 국민체감형 소음진동 관리체계 구축 • 공사장 소음진동 현장관리 강화 • 공사장 소음진동 저감기술 개발, 보급 유도 • 사업장 및 공장 소음진동 관리 강화 • 이동소음 규제지역 소음관리 개선 • 층간소음 기준 합리화, 서비스 다각화, 예방교육 강화 • 도로 및 철도 소음진동 관리제도 개선 • 도로 및 철도 소음진동 저감대책 다각화 • 항공 소음관리 선진화 및 선제적 대응 • 음풍경 활용 등 도시소음 능동적 관리 • 생활 밀착 소음관리 |
- 소음진동 저감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발생원별 특성을 고려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소음진동 저감 및 예방효과 달성
4) 소음진동 관리역량 강화 • 소음진동 기술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여건 마련 • 소음진동 일반관리 역량 제고 |
- 효과적으로 소음진동을 관리하고 새로운 소음진동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소음진동 관리역량 강화
7. 종합계획 수립, 이행으로 달라지는 점
'환경계획 > 최신 국가 환경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도 환경부 신규 사업 (0) | 2021.10.08 |
---|---|
제1차 국가물관리 기본계획 [2021~2030] (0) | 2021.06.09 |
생태계서비스 개념, 생태계서비스지불제계약 개요 / 22개 활동 유형 / 추진절ㅊ (0) | 2021.02.25 |
제2차 환경보건종합계획 (0) | 2021.02.25 |
제3차 잔류성오염물질 관리 기본계획(2021~2025) (0) | 2021.0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