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토계획/국토종합계획

대구권 광역철도

by 은하수다방 2021. 5. 12.
728x90
반응형
SMALL

대구권 광역철도

1. 사업의 목적

경부KTX 전용선 개통(`15.4) 이후 기존 경부선의 선로 여유용량을 활용하여 대구광역권(대구·경북) 도시간을 연결하는 광역전철망을 구축하여 대구·경북 도시간 연계성 확보 및 교통불편 해소

 

2. 사업개요

사업의 내용 : 구미칠곡대구경산 등 기존 경부선 61.9km

사업비 : 1,851억원(국비 70%, 지방비 30%, 차량구입비는 국비 50% 및 지방비50%)

사업기간 : 2015 2024

 

3. 사업노선의 기점과 종점

기점(구미역)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일원

종점(경산역) :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일원

 

4. 주요 경유지, 정거장 및 철도차량기지의 위치

구미역 : 경상북도 구미시 원평동 일원 (기존역 활용)

사곡역 :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사곡동 일원 (신설역)

왜관역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일원 (기존역 활용)

왜관공단역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삼청리 일원 (장래역)

서대구역 : 대구광역시 서구 이현동 일원 (신설역)

원대역 : 대구광역시 중구 고성동1가 일원 (장래역)

대구역 : 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2가 일원 (기존역 활용)

동대구역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일원 (기존역 활용)

경산역 : 경상북도 경산시 사정동 일원 (기존역 활용)

차량기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 일원 (동대구역 대구차량사업소 공용)

5. 사업진행

2007.4 :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사업 추진 건의

2007.11.21. : 건설교통부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에 추가검토사업으로 포함

2008: 국토해양부 > 타당성 조사

2008.7~2009.7 : 한국교통연구원 기본조사 용역 (B/C= 1.05, 3호선과의 환승역 신설 조건)

  - L=61.85km, 정차역 6개소, 총 사업비 312억원(차량구입비 229억원포함)

  - 도시철도 3호선과 환승, 일반철도 증편운행을 전제로 경제성 확보(B/C = 1.05)

2011.4.3. : 국토해양부 > 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기 시행중인 사업으로 포함

2011.11 : 한국철도시설공단 > 노반실시설계 착수 -> 운영문제 미확정 및 3호선 환승 사업비 미확보로 설계중단

2012.9 : 대구시 -> 국토해양부: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서 제출 (구미~경산 61.9km, 9개역 (기존5+신설4))

2012.12 : 국토해양부 -> 기획재정부: 2013 상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 신청서 제출 (국비 부담 조건)

2013.1 : 예비타당성조사 대비 사전타당성조사 공동용역 협약체결(대구시경북도)

2013.5 : 기획재정부 >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제외 (재원분담기준 미준수 사유)

2013.5 : 대구시 -> 국토부: KTX 서대구역 설치 건의

2013.6 : 2013년 하반기 예타사업 제출(대구시국토부) (광역철도사업(지방비 부담) 조건)

2013. 3 :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착수(대구시+경북도)

2013.10 : 기획재정부 > 2013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 선정

2013년 말 :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 대구광역권 철도망 구축사업 기본계획 및 타당성조사)

  - 운영비 및 시나리오별 B/C = 0.79 ~ 3.24

2014.1~2015.7 : 기획재정부 >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통과 B/C=1.00 AHP=0.517

2015.8.24. : 국토교통부 고시 2015-602호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광역철도로 지정

2015.10 : 국토교통부 > KTX 서대구역 건립 타당성 조사(B/C=1.08~1.70)

2015.10 : 기본계획 착수

2015.12.15. : 국토교통부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개정 : 대도시권(대구권)에 구미시를 포함

2015.12 : 국토교통부 > KTX 서대구역 설치 추진방안 확정, 철도공단에 방안 송부

2016.6 : 칠곡군 > 국토교통부 건의에 따라 북삼역 장래 설치 예정 (왜관공단역과 원대역은 추후 설치)

2016.11.23. : 국토교통부 >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 고시 (2016-729)

2016.12 : 대구시 > 서대구역 기본설계 완료

2017.1.25. : 국토교통부 > 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포함

2017.1 : 기본 및 실시설계 착수

2017.6 : 서대구역사 신축 실시설계 착수

2018.4.4. : 행정안전부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2단계) > 통과

2018: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대구권 광역철도 운영계획 수립 용역

2018.10 : 한국철도시설공단 > 북삼역 신설을 위한 타당성조사 재검증 용역 결과 (B/C=1.19, R/C=0.45) 국비지원은 불가능하고, 시설사업비와 운영비 적자분을 칠곡군이 부담해야 역 신설이 가능하다는 조건

2018.12 : 칠곡군의회 > 대구권 광역철도 북삼역 신설 동의안 가결

2019.3.5.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75> 대구권 광역철도 실시계획 승인 고시

2019.3 : 착공 (대구권 광역철도 및 서대구역)

2019.4.18. : 서대구역 기공식(서구 이현삼거리 일원, 1630)

2019.10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건의: 대구권 광역철도 경산-청도 연장

2020.2.4. : 한국철도시설공단, 칠곡군 > 대구권 광역철도 북삼역(가칭) 신설을 위한 위수탁 협약 체결

2020.10.8. : 국토교통부 > 12회 역명심의위원회에서 역명 확정 (서대구)

2021.4.22. : 국토교통부 >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 - 대구권 광역철도 2단계 (김천-구미)

2021.4.30. :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342>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사업 기본계획(변경) 차량기지 위치 변경: 경산역 유휴부지 -> 동대구역 대구차량사업소

 

<대구권 2단계(김천-구미) 철도노선>

[출처 : 국토교통부, 미래철도DB, 한국교통연구원]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