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환경친화적 계획

서식지 적합성 평가(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by 은하수다방 2021. 2. 9.
728x90
반응형
SMALL

서식지 적합성 평가(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1) 개념

통상적으로 서식지를 분포적으로 정의할 때 어느 생물이 위치하는 곳, 살아가는 공간으로 한정지을 수 있으나, 이는 특정지역에 한정되어 살아가는 특이종(Specialist)의 경우에만 적합하다.

반면, 일반종(Generalist) 의 경우 행동권(생활권, 활동권, 이동패턴)과 더불어 해당종의 기능적 특성(영소, 채식, 휴식, 월동), 주변의 물리적 환경(표고, 경사, 산림, 도로, 하천 등)과의 상호작용, 서식지관리목표(유지, 증식, 조절)에 따라 해당 토지의 생물종 서식지로서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

영소 : 새나 개미 따위가 집을 짓는 일. ‘집 짓기로 순화

 

2) 배경 및 필요성

(1) 기존의 보호구역 설정의 한계를 극복

기존에는 분포적 정의에 치우쳐, 발견장소의 격자(250m×250m)와 주변격자(750m×750m)로 일률적 격자를 서식지로 간주(생태자연도 작성지침)

따라서, 주변의 물리적 환경(특히 도로, 피복도, 식생 등 등)과 각 생물의 기능적 특성 및 서식지 관리목를 위해 필요한 공간설정으로 부적합

 

(2)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조사로서의 기능

야생동물의 실태조사, GIS-DB구축, 야생생물 보호구역지정, 수렵구역, 개발사업에 따른 저감방안, 훼손지 복구 및 대체 서식지 마련을 위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

생물의 생태특성과 더불어 주변의 환경요인을 고려하여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 과학적이며, 신뢰성이 높은 도면데이터를 제공

 

3) 평가방법 및 절차

(1) 자료수집 : 기존 문헌조사를 포한한 서식지 현황정보 파악

 

(2) 동식물분포도 작성 : 정밀조사(전국자연환경전국조사, 겨울철새동시센서스, 습지조사 등)

 

(3) 대상종 추출(주로 보호종, 멸종위기종)

 

(4) 서식지 경계설정 : 서식지의 기능적 특성(영소, 채식, 휴식, 월동)과 관리목표(유지,증식,조절)

통상 이단계가 핵심적인 단계인 바, 현지조사결과(출현/비출현, 개체수, 분포, 밀도)를 기초로 하여 환경요인(토지이용, 경사, 산림, 식생, 하천, 습지 등), 교란요인(인위적, 자연적) 등을 환경변수로 하여 통계적기법(회귀분석)을 이용 하는 바, 외국(미국)의 경우 GAP분석, HEP, HSI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

 

(5) 서식지 평가 : 분석결과의 해석으로 입지별로 핵심서식지(core), 완충(buffer)로 구분하거나, 지수값(0~1)에 따른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한 최종 결과물 도출

 

(6) 검증 및 모니터링 : 지속적 현지조사로 예측모형을 검증 및 보완

 

<야생동․식물 서식지 평가 작업과정>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