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최신 국가 환경계획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고품질 환경서비스제공-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환경서비스제공 / 미래형 도시환경서비스 강화 / 친환경 농산어촌 조성

by 은하수다방 2021. 2. 19.
728x90
반응형
SMALL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에서 고품질 환경서비스제공핵심전략에서의 3가지 주요 과제 중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환경서비스제공에 대한 추진방안

1) 환경용량을 고려한 지역별 환경기준 설정

지역환경기준은 행복 및 건강, 쾌적성을 느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설정하고, 배출총량 및 환경용량을 고려하여 오염원 관리

 

2) 지역별 목표에 기반한 환경관리

지역 스스로 설정한 대기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목표배출량, 오염원별 배출량 설정 등 대기오염총량제 확대 시행

본류 외에도 오염우심지류에 지류총량관리 등 유역통합관리 방안 확대 도입

지역주민이 자연을 모두 향유할 수 있도록 자연자원 접근성 지표 개발 및 국가지역 목표 설정관리

 

3) 지역 실정에 맞게 환경관리 체계 개편

지역 내 사업장 통합환경관리

오염도가 낮은 지역을 청정지역으로 지정보전하고, 생태관광 등과 연계, 친환경자동차LID 등을 우선 보급지원

대기오염물질수질오염물질 등의 오염원 및 입지규제관리 선진화, 규제의 주기적 평가로 규제효율성 제고

 

4) 생활밀착형 환경서비스 강화

상수도 음용률 제고

생활사업장 악취관리 개선

재활용품 및 폐기물 배출 편의성 제고

정온한 생활환경 조성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에서 고품질 환경서비스제공핵심전략에서의 3가지 주요 과제 중 미래형 도시환경서비스 강화에 대한 추진방안

1) 도시 내 보통자연에 대한 접근성 향상

파편화된 도시 서식처 복원 및 확대

공원기능 및 도시자연 관리체계 구축

 

2) 국토지하환경 안정성 강화

지하공간환경정보 구축

지하환경 관리기반 강화

 

3) 친환경적 도시 재생

자연복원면적 확보제 도입

환경기초시설의 자산관리체계 도입

친환경지속가능도시 모델 확산

현명한 쇠퇴(Smart Decline) 준비

 

4) 스마트 그린시티(Smart Green City) 기반 구축

자원에너지 이용 효율 최적화

스마트 생활환경관리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에서 고품질 환경서비스제공핵심전략에서의 3가지 주요 과제 중 친환경 농산어촌 조성에 대한 추진방안을 기술

1) 농산어촌 정주 생태계 재선

농촌지역의 폐공간폐시설 재자연화

농어업과 생태자원(지질공원, 생태관광지역 등)의 연계 강화

농촌폐기물 수집운반체계 개선

하수도 보급, 물가격 등 물격차 해소

 

2) 환경친화적 농업수산산림자원 관리

농업-환경정책의 연계 강화

지역단위 농업환경자원 관리 강화

지속가능한 어업관리체계 혁신

친환경적 산지산림경영 실현

농업수산산림분야 친환경성 제고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

1) 개요

향후 20년간(2016~2035)의 국가 환경정책의 비전과 장기전략을 제시하는 법정계획

환경정책기본법에 근거함

비전 : 자연과 더불어, 안전하게, 모두가 누리는 환경행복

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관리, 품질 환경서비스 제공, 강위해 환경요인의 획기적 저감, 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 의적 저탄소 순환경제의 정착, 구환경보전 선도, 경권 실현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

 

2) 계획의 비전 및 목표

(1) 자연과 더불어 : 풍요롭고 조화로운 자연과 사람

(2) 안전하게 : 환경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안심사회

(3) 모두가 누리는 환경행복 : 국격에 걸맞는 지속가능환경

 

3) 핵심 전략별 추진계획

(1)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관리

 한반도 생태용량 확충

 고유생물종 및 유전자원 발굴보전

 연안  해양생태계 관리강화

 생태서비스 가치 극대화

 사전예방적 국토환경관리 강화

 

(2) 고품질 환경서비스 제공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환경서비스 제공

 미래형 도시환경서비스 강화

 친환경 농산어촌 조성

 

(3) 건강위해 환경요인의 획기적 저감

 예방적 환경보건관리 강화

 대기 위해 물질관리 강화

 물환경 위해 관리체계 강화

 토양 및 지하수 위해관리체계 강화

 화학물질 사전위해성 관리 강화

 

(4) 미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

 기후변화 위험관리 및 신기회 창출 현실화

 생태, 생물학적 위험관리능력 제고

 방사능 위험관리 강화

 미래 환경안보 관리 시스템 구축

 

(5) 창의적 저탄소 순환경제의 정착

 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

 자원순환경제 고도화

 ICT를 활용한 친환경 생산, 소비 확대

 환경산업 생태계 혁신

 

(6) 지구환경 보전 선도

 범지구적 환경보전 기여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 적극 지원

 동북아 환경보전 선도

 한반도 환경공동체 실현

 

(7) 환경권 실현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

 환경권 보장체계 혁신

 쌍방향 환경정보에 기반한 첨단 환경거버넌스 실현

 경쟁과 책임강화로 지방의 환경가치 제고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