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최신 국가 환경계획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미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

by 은하수다방 2021. 2. 19.
728x90
반응형
SMALL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에서 미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핵심전략에서의 4가지 주요 과제와 각각의 추진방안

 

1) 기후변화 위험관리 및 신기회 창출 현실화

(1) 기후변화 위험평가를 위한 통합 정보기반 구축

통합 기후변화 전망 시나리오모델 고도화

기후변화 위험평가 및 위험지도 구축

 

(2) 기후변화 안심을 위한 기후 들봄 체계 구축

기후변화 취약계층 분류 및 통합 모니터링망 구축

기후변화 들봄사업 시행

 

(3) 자연재해에 안전한 공간환경 조성

사회기반시설 유형별 위험평가 및 적응보고서 작성 의무화

집중강우, 산사태 등에 대해 점면적 대책을 포함한 기후변화 적응 인프라 구축

지역단위의 기후변화 적응 사업 추진

 

(4) 기후변화 적응을 신성장 동력으로 활용

국내수요미래수요해외시장 등을 고려한 기후변화 적응 기술 인벤토리 구축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물관리농업IT 27개 기후변화 적응 유망산업 육성

업종별 기후변화 리스크를 진단, 저감하는 기후변화 컨설팅 활성화

 

2) 생태・생물학적 위험관리능력 제고

(1) 생태계 교란종, LMO 등의 생태계 위험관리 강화

외래생물 통합관리체계 구축

생태계 교란종 및 위해우려종 지정 확대

LMOs의 자연생태계 안전성 관리체계 구축

 

(2) AI, 바이러스, 미량 환경유해인자 등 생물학적 위험 대응능력 확대

병원체생물(야생동물 질병) 관리강화

곰팡이, 바이러스 등 미생물학적 오염원 관리 강화

미량환경유해인자 모니터링 및 신규 환경유해인자 탐색체계 구축

 

3) 방사능 위험관리 강화

(1) 방사능 오염물질 관리 강화

국가 방사능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방사능 이상상황 조기 탐지를 위한 환경방사능 감시 역량 강화

방사성 오염물질 관리체계 구축

 

(2) 방사능 방재 인프라 구축

국가 방사선비상진료체제 확립

원자력 사고 발생시 주민보호를 위한 대책 마련

 

4) 미래 환경안보 관리 시스템 구축

(1) 기후변화 등에 따른 복합 환경재해 목록화 및 관리 강화

복합 환경재해 인과지도 구축

환경리스크 목록 및 국가 대응전략 구축

 

(2) 지정학적 요건을 고려한 동북아 환경재해 관리

동북아 지역 환경재난 대응 대비 통합체계 구축

백두산 등 한반도 환경재해 대응체계 마련

 

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

1) 개요

향후 20년간(2016~2035)의 국가 환경정책의 비전과 장기전략을 제시하는 법정계획

환경정책기본법에 근거함

비전 : 자연과 더불어, 안전하게, 모두가 누리는 환경행복

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관리, 품질 환경서비스 제공, 강위해 환경요인의 획기적 저감, 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 의적 저탄소 순환경제의 정착, 구환경보전 선도, 경권 실현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

 

2) 계획의 비전 및 목표

(1) 자연과 더불어 : 풍요롭고 조화로운 자연과 사람

(2) 안전하게 : 환경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안심사회

(3) 모두가 누리는 환경행복 : 국격에 걸맞는 지속가능환경

 

3) 핵심 전략별 추진계획

(1)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관리

 한반도 생태용량 확충

 고유생물종 및 유전자원 발굴보전

 연안  해양생태계 관리강화

 생태서비스 가치 극대화

 사전예방적 국토환경관리 강화

 

(2) 고품질 환경서비스 제공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환경서비스 제공

 미래형 도시환경서비스 강화

 친환경 농산어촌 조성

 

(3) 건강위해 환경요인의 획기적 저감

 예방적 환경보건관리 강화

 대기 위해 물질관리 강화

 물환경 위해 관리체계 강화

 토양 및 지하수 위해관리체계 강화

 화학물질 사전위해성 관리 강화

 

(4) 미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

 기후변화 위험관리 및 신기회 창출 현실화

 생태, 생물학적 위험관리능력 제고

 방사능 위험관리 강화

 미래 환경안보 관리 시스템 구축

 

(5) 창의적 저탄소 순환경제의 정착

 시장메커니즘을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

 자원순환경제 고도화

 ICT를 활용한 친환경 생산, 소비 확대

 환경산업 생태계 혁신

 

(6) 지구환경 보전 선도

 범지구적 환경보전 기여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 적극 지원

 동북아 환경보전 선도

 한반도 환경공동체 실현

 

(7) 환경권 실현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

 환경권 보장체계 혁신

 쌍방향 환경정보에 기반한 첨단 환경거버넌스 실현

 경쟁과 책임강화로 지방의 환경가치 제고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