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정책/수질정책

하천공간 관리계획 (하도계획 수립시 하천의 지구 구분)

by 은하수다방 2021. 2. 19.
728x90
반응형
SMALL

하천공간 관리계획 (하도계획 수립시 하천의 지구 구분)

 

1. 개요

하도계획 수립 시 대상하천을 시점에서 종점까지 하천의 환경생태, 이용특성 등에 따라 친수지구, 보전지구, 복원지구 등으로 구분함

각 지구에 대한 하천정비 및 관리계획을 설정 함

하천의 세부특성에 따른 체계적 관리를 위해 각 지구를 세분화하여 구분 할 수 있음

 

2. 하천의 지구 구분

 

3. 지구 세분화

4. 하천환경 종합계획
 1) 기본방향 설정
  가. 하천환경목표 설정
    하천환경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서 먼저 상위계획인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을 참고하되 하천환경 특성, 하천관리청의 하천관리 여건, 의견 수렴(전문가,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 결과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하천환경 목표등급은 하천환경자연도 등급, 하천관리청의 하천공간 관리계획, 환경부의 수질 목표등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하천구간별로 제시하여야 한다.


  나. 기본방향
     하천환경 종합계획은 하천의 수환경과 공간환경에 대하여 하천환경 목표등급을 고려하여 기본방향을 설정한다.
     수환경 개선계획은 하천의 물리적인 구조 복원, 하천의 자정능력 향상, 생물서식처의 보전 및 복원 등을 고려하여 하천환경의 보전 및 자연친화적 하천정비 등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공간환경 개선계획은 지역여건, 하천의 역사와 문화, 하천의 경관, 하천활용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비 및 관리방향 등을 정한다.
     하천환경 종합계획은 치수, 이수기능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수립해야하며, 하천공간 관리방향과 부합하도록 수립해야 한다.


 2) 하천환경 정비 및 관리 계획
  가. 수환경 개선계획
     생태공간 조성
     - 하천환경 평가결과를 토대로 하천의 주요 구간에 대하여 하천의 물리적구조 복원, 생물 서식처 조성, 식재계획 등을 반영한 자연친화적 하천정비계획을 수립한다.
     - 생태공간 조성계획에는 하천 환경기능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생태수로, 초지, 비오톱, 하중도, 어도, 여울·소, 수제, 돌무더기, 거석, 물웅덩이, 횃대 등 다양한 방안을 활용할 수 있으며 유역대표종의 서식을 고려하여야 한다.
     - 하천의 물리적인 구조 복원은 자연하천에 비하여 구조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기 위한 하도선형 개량, 홍수터 조성·복원, 구하도 및 복개하천 복원 등이 있다.
     - 생물 서식처 계획은 수중 또는 수변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 복원으로 기존의 하천정비 등에 의해 서식처가 파괴되었거나 단조로운 하도로 변화하는 등 생물이 서식하기 곤란한 여건을 가진 하천구간에 적용한다.
       ➀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서식처 기법에는 생태수로, 여울·소, 어도, 수제, 하중도, 거석, 돌보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법을 적용할 경우 생태 및 수리 전문가의 자문을 거쳐 위치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➁ 생물서식처는 가급적 홍수소통능력을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공법을 도입하여 하천환경에 대한 충격을 최소화 하도록 계획한다.
     - 식재계획은 하천의 생태공간 도입을 고려하여 하천 자정능력, 하천환경, 하천이용도 등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계획한다.


     수질개선
     - 하천수질의 개선은 기본적으로 환경부의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에 따른 대·중·소권역 물환경관리계획,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 및 기본 시행계획,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 등 유역의 오염원관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 하천기본계획에서는 환경부 유역 수질관리 대책과 적절한 조화를 취하면서 하천의 하도, 둔치, 유수지, 저류지 등에서 하천정화기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등을 계획하여야 한다.
     - 하천의 수질개선은 하천특성에 따라 물리적인 방법, 생물학적인 방법, 화학적인 방법을 개별적 또는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하천설계기준,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에 관한 통합 지침 등을 참고하여 계획한다.
     - 수환경 개선계획을 수립한 하천에 대해서는 필요할 경우 장래수질예측을 실시할 수 있다.
       ➀ 하천수질 예측은 전략환경영향평가와 연계하여 검토한다.
       ➁ 하천수질 예측분석을 위한 수질모형은 신뢰성 있는 모형(QUAL2E, WASP 등)을 사용하되, 하천특성에 따라 다른 모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➂ 하천수질 예측결과는 수환경 개선계획의 보완, 공간환경 개선계획 수립 등에 활용한다.


  나. 공간환경 개선계획
     - 공간환경 개선계획은 하천설계기준 , 자연친화적 하천관리에 관한 통합지침 등에 따라 하천이 가지는 자연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치수, 이수, 하천환경, 문화 등 하천 고유의 기능이 발휘되도록 수립한다.
     - 도시하천과 같이 이용중심의 구간도 생태계 보전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개선 또는 복원이 되도록 공간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 공간계획은 치수안전도가 우선 확보되고 생태기능이 증진되며 추이대 기능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천의 자정능력이 증대되는 방안으로 수립한다.
     - 하천둔치에는 가급적 운동시설 등 인위적인 이용시설은 지양하되 도시지역이 인접한 경우 주민 이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공간계획을 마련한다.
     - 하천둔치 내에는 필요에 따라 본류와 물 순환을 할 수 있는 생태수로 및 생태저류지, 생물서식처 등을 조성하여 하천의 다양한 환경 조건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 하천의 역사·문화 또는 심미적 가치를 가지는 주요 경관자원이 존재할 경우 하천경관 개선 계획을 수립한다.


  다. 하천둔치, 폐천부지 등 관리계획
     - 주요 하천둔치, 폐천부지, 하중도, 구하도 등 중점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은 치수, 이수, 하천환경, 지형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관리계획 수립시에는 개발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고 하천의 기능 유지 및 향상을 위해 활용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한다.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