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네트워크 개념, 구성요소, 효과
1) 개요
∙생육공간의 연결을 통해 생태계 기능 유지와 안정성 확보, 생물다양성 증진을 도모하는 공간상의 계획
∙지역적인 맥락에서 생육공간과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함.
∙구성요소로 핵심, 거점, 완충, 코리더(연결), 복원창출지역이 있음.
2) 구성요소
(1) 핵심지역
가) 개념
① 다양하거나 희귀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장소
② 생태네트워크의 핵, 절대적 보전지역
③ 생물종의 번식, 먹이 확보, 휴식 장소
④ 생물종 공급 및 도입을 받아들이는 역할
⑤ 야생동물의 긴급 피난처 역할 수행
나) 지정대상
① 생태계 우수 등급지역 : 녹지자연도 8등급, 생태자연도 1등급, 임상도 5영급
② 법정보호지역 : 생태경관보전지역, 보전녹지지역, 습지보호지역, 야생생물보호구역 등
③ 주요종 서식지 : 희귀종, 멸종위기종 서식지 및 주변지역, 철새도래지 등
(2) 거점 지역
① 자연복원·창출 잠재력이 높은 지역
② 야생생물의 소규모 서식지이자 분포영역의 확대 역할
③ 상대적 보전지역 : 녹지자연도 7등급, 생태자연도 2등급(완충보전지역), 임상도 4영급
(3) 생태적 코리더(연결지역)
① 떨어져 존재하는 핵심지역과 거점지역 연결
② 반드시 연결된 상태여야 할 필요 없음.
∙징검다리형, 점, 선, 면 형태로 나타남.
③ 생물들의 유전자 교류 및 피난 통로 역할 수행
(4) 완충지역
① 생태네트워크의 지속성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
② 핵심지역, 코리더, 복원지역의 주변지역
③ 생태계를 재생·창출 시킬 수 있는 지역
④ 외부로부터의 충격완화, 핵심지역과 코리더 보호
(5) 복원 창출 지역
① 생물종 서식이나 생태네트워크 효과 증진을 위해 새롭게 조성되는 지역
② 생태적 기능 및 연결성 회복이 요구되는 지역
③ 다른 형태로 복원되어도 구조와 기능이 개선됨.
3) 생태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요소
(1) 가치있는 서식처의 보전
① 핵심지역 및 거점지역으로 설정
② 인위적 간섭과 개발 입지 배제
(2) 훼손된 서식처 복원
① 자연성을 상실한 산림, 녹지대 생태 복원
② 자연 생태형 하천 복원
(3) 기능이 저하된 생육공간 향상
① 조림지 복원 등 녹지 확충
② 새로운 녹지 재생·창출
(4) 새로운 생육공간 창출
① 대체서식지 시행 확대
② 생태공원, 생태숲, 건물 녹화 등
(5) 생태통로 조성
① 도로, 철도 등에 의해 단절된 지역의 생태계 연결성 회복
② 생태적 코리더 기능 회복
4) 생태네트워크 효과
(1) 생물다양성 보존과 증진
① 파편화된 소생물권 연결
② 목표종 설정 및 유치로 생물종 확대
③ 생물서식기능 증대로 생물다양성 확보
(2) 유기적인 생태계 연속성 확보
① 산림, 하천, 습지 등의 생태통로 조성
② 생태계 기반조성 및 생태계 회복
③ 통합된 생태계 연결성 확보
(3) 환경적, 경제적 효용성 창출
① 오염원 흡수, 정화에 의한 환경 부하 저감
② 열에너지 보전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
③ 관광 및 휴양, 교육적 가치 제고
(4) 보전과 개발의 조화 실현
① 경관생태학적 건강성 회복
② 선보전 → 후개발 체계 확립
③ 환경적 지속가능성 유지
'환경계획 > 환경친화적 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종위기 야생생물 정의 / 멸종위기종 지정ㆍ해제 기준 및 절차 (0) | 2021.02.09 |
---|---|
하천자연도 (0) | 2021.02.09 |
서식지 적합성 평가(Habitat Suitability Evaluation) (0) | 2021.02.09 |
개발행위에 따른 자연경관훼손의 유형 / 유형별로 적용할 수 있는 저감대책(개발사업의 의사결정단계) (0) | 2021.02.09 |
경관생태학의 정의, ‘SLOSS논쟁’과 ‘주연부효과(Edge Effect)’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