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경계획/환경친화적 계획

생태네트워크 개념, 구성요소, 효과

by 은하수다방 2021. 2. 9.
728x90
반응형
SMALL

생태네트워크 개념, 구성요소, 효과

 

1) 개요

생육공간의 연결을 통해 생태계 기능 유지와 안정성 확보, 생물다양성 증진을 도모하는 공간상의 계획

지역적인 맥락에서 생육공간과 생물종의 보전을 목적으로 함.

구성요소로 핵심, 거점, 완충, 코리더(연결), 복원창출지역이 있음.

 

2) 구성요소

(1) 핵심지역

) 개념

다양하거나 희귀한 생물종이 서식하는 장소

생태네트워크의 핵, 절대적 보전지역

생물종의 번식, 먹이 확보, 휴식 장소

생물종 공급 및 도입을 받아들이는 역할

야생동물의 긴급 피난처 역할 수행

 

) 지정대상

생태계 우수 등급지역 : 녹지자연도 8등급, 생태자연도 1등급, 임상도 5영급

법정보호지역 : 생태경관보전지역, 보전녹지지역, 습지보호지역, 야생생물보호구역 등

주요종 서식지 : 희귀종, 멸종위기종 서식지 및 주변지역, 철새도래지 등

 

(2) 거점 지역

자연복원·창출 잠재력이 높은 지역

야생생물의 소규모 서식지이자 분포영역의 확대 역할

상대적 보전지역 : 녹지자연도 7등급, 생태자연도 2등급(완충보전지역), 임상도 4영급

 

(3) 생태적 코리더(연결지역)

떨어져 존재하는 핵심지역과 거점지역 연결

반드시 연결된 상태여야 할 필요 없음.

징검다리형, , , 면 형태로 나타남.

생물들의 유전자 교류 및 피난 통로 역할 수행

 

(4) 완충지역

생태네트워크의 지속성을 보호하기 위한 지역

핵심지역, 코리더, 복원지역의 주변지역

생태계를 재생·창출 시킬 수 있는 지역

외부로부터의 충격완화, 핵심지역과 코리더 보호

 

(5) 복원 창출 지역

생물종 서식이나 생태네트워크 효과 증진을 위해 새롭게 조성되는 지역

생태적 기능 및 연결성 회복이 요구되는 지역

다른 형태로 복원되어도 구조와 기능이 개선됨.

 

3) 생태네트워크 실현을 위한 요소

(1) 가치있는 서식처의 보전

핵심지역 및 거점지역으로 설정

인위적 간섭과 개발 입지 배제

 

(2) 훼손된 서식처 복원

자연성을 상실한 산림, 녹지대 생태 복원

자연 생태형 하천 복원

 

(3) 기능이 저하된 생육공간 향상

조림지 복원 등 녹지 확충

새로운 녹지 재생·창출

 

(4) 새로운 생육공간 창출

대체서식지 시행 확대

생태공원, 생태숲, 건물 녹화 등

 

(5) 생태통로 조성

도로, 철도 등에 의해 단절된 지역의 생태계 연결성 회복

생태적 코리더 기능 회복

 

4) 생태네트워크 효과

(1) 생물다양성 보존과 증진

파편화된 소생물권 연결

목표종 설정 및 유치로 생물종 확대

생물서식기능 증대로 생물다양성 확보

 

(2) 유기적인 생태계 연속성 확보

산림, 하천, 습지 등의 생태통로 조성

생태계 기반조성 및 생태계 회복

통합된 생태계 연결성 확보

 

(3) 환경적, 경제적 효용성 창출

오염원 흡수, 정화에 의한 환경 부하 저감

열에너지 보전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

관광 및 휴양, 교육적 가치 제고

 

(4) 보전과 개발의 조화 실현

경관생태학적 건강성 회복

선보전 후개발 체계 확립

환경적 지속가능성 유지

728x90
반응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