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고려사항
1) 저탄소형 토지이용
① 자연환경(온실가스 흡수원)의 보전 및 복원
ㅇ 식생이 양호한 산림은 원형보전지로 확보하고, 사업지 내외로 연결된 녹지네트워크 구축
ㅇ 불필요한 절토사면과 토공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존지형을 최대한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 불가피한 절토면 발생시 그 지역특성에 적합한 생태복원계획을 수립하여 자연천이를 유도
② 자연순응형, 집약형 공간구조 형성
ㅇ 토지이용, 에너지 및 자원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집약적 공간구조가 되도록 계획
ㅇ 보전지역과 개발지역을 분리하여 무분별한 난개발을 방지
ㅇ 사업지와 주변의 지형, 지세에 순응하고 생태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다양한 주거형태 및 시설물이 배치되도록 계획
③ 바람통로 확보
ㅇ 대기확산과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저감을 위해 당해 지역의 대기흐름을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ㅇ 사업지로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바람길이 되는 녹지축을 확보하고 건축물의 층수, 간격 등을 고려하여 바람통로 조성
ㅇ 산지의 신선한 공기유입을 위해 산지 및 구릉지 하단부를 횡으로 가로막는 건물배치는 지양
2) 에너지 효율향상 및 절감
① 에너지 효율 향상
ㅇ 토지이용 및 시설배치 효율화, 고효율 에너지 이용시스템 및 설비의 설치 등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방안 수립
ㅇ 건물옥상 및 벽면녹화를 통해 열 손실 최소화
ㅇ 일정지역의 가로등, 교통신호등, 주차장 조명 등에 태양광, 풍력 등을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또는 LED 조명 등 도입
② 신재생에너지 도입
ㅇ 사업지역의 지형, 기상 등을 고려하여 태양에너지, 바이오에너지, 풍력, 소수력 등 신재생에너지 적극 도입
③ 폐자원의 재이용
ㅇ 생활폐기물 소각시설은 발생되는 여열을 사업지내 난방열이나 전력생산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여열회수시설 설치
ㅇ 하수처리시설에는 슬러지 소화가스를 이용한 발전설비를 설치하여 에너지 자립화 유도
ㅇ 비도시지역, 농촌지역 개발시 바이오매스 등의 폐자원을 이용한 에너지 이용시설 설치
3) 자원의 재이용 및 순환
① 우수 활용
ㅇ 지붕 면적이 넓은 대규모 공공시설(운동장, 체육관, 공공청사 등) 설치시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여 빗물 재이용 및 순환 유도
ㅇ 재해예방목적의 유수지 설치시 사업지내 비점오염원 저감 및 생태기능을 고려한 생태유수지로 설치
ㅇ 우수의 토양침투가 용이하도록 주택단지, 공원, 보행공간이나 공공주차장 등에 투수성포장을 적용하여 자연지반면적 확보
② 용수의 재이용
ㅇ 필요한 용수를 현지에서 공급(On-Site Water Supply)하여 장거리 물 수송에 따른 에너지 및 수자원 절약 시스템 도입
ㅇ 하수처리장 방류수 재이용시설 및 중수도 시설을 설치하여 사업지에서 소요되는 용수 사용량의 일정비율 이상을 공급
* 조경용수, 하천 유지용수, 농업, 공업용수 등으로 활용
4) 생태녹지 확보
① 공원, 녹지 확보
ㅇ 산지, 구릉지 등 자연지형을 활용한 원형보전녹지 외에 온실가스 흡수기능을 갖는 공원이나 녹지를 충분히 조성
ㅇ 하수처리장, 폐기물처리시설 등 환경기초시설은 지하화하여 악취발생 최소화, 상부는 생태공원 등 녹지공간으로 조성
② 탄소저감 식재계획 마련
ㅇ 식재계획 수립시 상수리나무, 신갈나무 등 탄소흡착 및 고정효과가 높은 수종을 선정
ㅇ 식생밀도를 강화하여 단위면적당 임목축적량을 높여 다층적 식재구조가 되도록 계획
5) 친환경 건축 및 녹색교통
① 친환경 건축
ㅇ 건축자재는 생산, 수송, 시공, 폐기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비용과 에너지량을 고려하여 환경부하가 적은 재료 선택
ㅇ 천연 재료, 재활용 재료, 반복사용이 가능한 재료 등을 활용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최대한 저감
ㅇ 공동주택, 청사 등 공공건축물은 친환경건축물 인증을 받도록 유도
ㅇ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 광장, 주차장, 공원 등은 불투수성 콘크리트․아스팔트 대신 공극이 있는 투수성 포장 적용
② 녹색교통체계 구축
ㅇ 사업대상지내 교통동선은 대중교통과 연계된 보행 친화적 도로망을 위주로 구성
ㅇ 차 없는 지구(Car Free Zone) 도입, 보행자 및 자전거도로 설치, 순환버스 시스템구축 등 대중교통 이용 제고
ㅇ CNG(천연가스) 버스, 전기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
<1951년-1980년 세계 평균 기온을 기준으로 한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10년 동안의 세계 기온 변화 지도. 북극과 남극에서 매우 큰 기온 변화가 관찰된다. 출처: NASA Earth Observatory>
'환경정책 > 대기질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 경보제 (0) | 2021.02.23 |
---|---|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 (0) | 2021.02.23 |
온실가스 평가방안 (0) | 2021.02.22 |
비상저감조치 및 예비저감조치 (0) | 2021.02.19 |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대기오염물질 3종류 및 영향 (0) | 2021.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