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업무계획 (2018 / 2019 / 2020 / 2021)
2018 환경부 업무계획 1) 국가 지속가능성 제고 ① 국가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확립 - SDG ② 친환경적 에너지 공급체계로 전환 - 화력발전소X, 재원 ③ 국토-환경정보 통합 및 환경영향평가 혁신 – 평가공개, 공유체계 구축 ④ 지속가능한 생산・소비체계 구축 - 자원순환성과 관리, EPR 2) 국민체감형 환경질 개선 ① 유역기반 통합 물관리로 지역 물문제 해결 – 거버넌스, 4대강별 대책 ② 미세먼지 저감 본격 추진 - 먼지총량제, 노후경유차X, 한-중, 학교모니터링 ③ 빈틈없는 화학안전망 구축 - 유해성 정보확보, 살생물제→사전승인, 대응체계 ④ 인간과 동식물이 공존하는 자연환경 보전・이용 – 자연공원법, 도시공원복원 3) 국민과 함께하는 환경정책 ① 선제적 환경피해 예방과 적극적 피해구제 – 건강..
2021. 2. 16.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 1) 개요 ∙2016~2025년 10년동안 하천, 호소, 연안 수계 등 우리나라 전 국토에서 펼쳐지는 물환경관리 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담은 최상위 계획 ∙대, 중, 소권역 물환경 관리계획,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 및 기본, 시행계획, 비점오염원관리 종합 대책 등 주요 물환경 관리 대책 수립의 지침서 역할 ∙환경부장관이 10년마다 수립하며, 유역환경청장이 4대강 대권역계획을 수립하고, 중권역계획은 지방환경청장이, 소권역계획은 시장, 군수, 구청장이 수립 2) 비전 ∙방방곡곡 건강한 물이 있어 모두가 행복한 세상 3) 핵심전략 (1) 건강한 물순환 체계 확립 ∙환경생태유량 확보 제도화 ∙지표수, 지하수 통합관리 ∙전 국토의 물 저류, 함량 기능 향상 ∙물 재이용 활..
2021. 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