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환경계획73

환경부 업무계획 (2018 / 2019 / 2020 / 2021) 2018 환경부 업무계획 1) 국가 지속가능성 제고 ① 국가 지속가능성 평가체계 확립 - SDG ② 친환경적 에너지 공급체계로 전환 - 화력발전소X, 재원 ③ 국토-환경정보 통합 및 환경영향평가 혁신 – 평가공개, 공유체계 구축 ④ 지속가능한 생산・소비체계 구축 - 자원순환성과 관리, EPR 2) 국민체감형 환경질 개선 ① 유역기반 통합 물관리로 지역 물문제 해결 – 거버넌스, 4대강별 대책 ② 미세먼지 저감 본격 추진 - 먼지총량제, 노후경유차X, 한-중, 학교모니터링 ③ 빈틈없는 화학안전망 구축 - 유해성 정보확보, 살생물제→사전승인, 대응체계 ④ 인간과 동식물이 공존하는 자연환경 보전・이용 – 자연공원법, 도시공원복원 3) 국민과 함께하는 환경정책 ① 선제적 환경피해 예방과 적극적 피해구제 – 건강.. 2021. 2. 16.
완충, 경관, 연결녹지의 기능, 설치기준, 규모, 시설 완충, 경관, 연결녹지의 기능, 설치기준, 규모, 시설 1. 완충녹지 1) 기능 ∙ 대기오염, 소음・진동, 악취, 이에 준하는 공해와 각종 사고나 자연재해,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재해 등의 방지 2) 설치기준 ∙ 완충녹지의 폭은 원인시설에 접한 부분부터 최소 10m 이상 ∙ 철도, 고속국도 및 자동차전용도로, 지역간 연결도로 연접구역 계획 ∙ 공장, 사업장 및 이와 유사한 시설에서 발생하는 매연, 소음・진동, 비점오염과 악취 등의 제반공해의 차단 및 완화가 요구되는 곳에 계획 ∙ 재해발생시의 피난지대에 계획 ∙ 지형・지물의 여건을 감안하여 녹지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규모로 계획 3) 규모 ∙ 주거지역과 일반・준공업지역의 연접부분 폭 15m 이상(20m 도로 조성 포함) ∙ 주거지역과 전용공업지.. 2021. 2. 16.
지질공원의 정의, 인증, 인증추진과정, 기본요건, 종류, 지원내용 지질공원의 정의, 인증, 인증추진과정, 기본요건, 종류, 지원내용 1) 정의 (1) 유네스코 정의 ∙지질공원은 특별한 과학적 중요성, 희귀성 또는 아름다움을 지닌 지질현장 ∙지질학적 중요성 뿐만 아니라 생태학적・고고학적・역사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지역으로 보전・교육・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함. (2) 자연공원법 정의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지역으로 이를 보전하고, 교육・관광사업 등 활용을 위해 환경부장관이 인증한 공원 2) 지질공원의 인증(자연환경보전법) (1) 시·도지사는 지구과학적으로 중요하고 경관이 우수한 지역에 대하여 지역주민공청회와 관할 군수의 의견청취 절차를 거쳐 환경부장관에게 지질공원 인증을 신청할 수 있다. (2) 환경부장관은 아래 기준에 적합한 경우에는 관계 중앙.. 2021. 2. 16.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 1) 제정이유 ・국토의 과잉개발을 방지하고 환경과의 조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국토 발전을 도모하고자 「국토기본법」 및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라 국토계획과 환경보전계획이 상호 연계를 통하여 계획간 통합관리를 위한 적용범위, 연계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정하려는 것임 2) 주요 제정내용 (1) 국토환경 및 환경보전계획 통합관리 원칙 제시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 수립 시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비전과 경제, 사회,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추진전략, 목표를 공유 및 제시 ・대상계획 수립을 위한 과정에서 긴밀한 협력을 위한 진행상황과 자료를 공유하고,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유지를 위하여 상호 노력 (2) 국가계획의 시기적 일치 ・국토종합계획이 수립되는.. 2021. 2. 10.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 제2차 물환경관리 기본계획(2016~2025) 1) 개요 ∙2016~2025년 10년동안 하천, 호소, 연안 수계 등 우리나라 전 국토에서 펼쳐지는 물환경관리 정책의 목표와 방향을 담은 최상위 계획 ∙대, 중, 소권역 물환경 관리계획, 오염총량관리기본방침 및 기본, 시행계획, 비점오염원관리 종합 대책 등 주요 물환경 관리 대책 수립의 지침서 역할 ∙환경부장관이 10년마다 수립하며, 유역환경청장이 4대강 대권역계획을 수립하고, 중권역계획은 지방환경청장이, 소권역계획은 시장, 군수, 구청장이 수립 2) 비전 ∙방방곡곡 건강한 물이 있어 모두가 행복한 세상 3) 핵심전략 (1) 건강한 물순환 체계 확립 ∙환경생태유량 확보 제도화 ∙지표수, 지하수 통합관리 ∙전 국토의 물 저류, 함량 기능 향상 ∙물 재이용 활.. 2021. 2. 10.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년)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2016~2035년) 1) 개요 ∙향후 20년간(2016~2035년)의 국가 환경정책의 비전과 장기전략을 제시하는 법정계획 ∙환경정책기본법에 근거함 ∙비전 : 자연과 더불어, 안전하게, 모두가 누리는 환경행복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관리, 고품질 환경서비스 제공, 건강위해 환경요인의 획기적 저감, 미래 환경위험 대응능력 강화, 창의적 저탄소 순환경제의 정착, 지구환경보전 선도, 환경권 실현을 위한 정책기반 조성 2) 계획의 비전 및 목표 (1) 자연과 더불어 : 풍요롭고 조화로운 자연과 사람 (2) 안전하게 : 환경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안심사회 (3) 모두가 누리는 환경행복 : 국격에 걸맞는 지속가능환경 3) 핵심 전략별 추진계획 (1) 생태가치를 높이는 자연자원관리 ① 한반도.. 2021. 2. 10.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의 법적 성격과 6대 목표 및 추진과제 ‘제3차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16~2025)’의 법적 성격과 6대 목표 및 추진과제 1. 계획의 수립배경 ∙ 경제개발과 인구의 도시집중(세계 인구의 50% 이상 도시거주)으로 야생생물 서식지가 파괴되고, 생물다양성이 지속적으로 감소 - 2050년까지 전 세계 생물의 10%가 사라질 전망(’13, OECD 환경전망 2050) - 특히,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면적에 비해 각종 개발사업이 계속되고 있어 서식지 파편화 및 생물다양성 감소가 심화될 전망 ∙ 그간, 생물다양성법 제정(’12), 국립생물자원관(’07)・국립생태원(’13), 국립 낙동강생물자원관(’15) 설립 등 제도 및 인프라 구축 - 습지보호지역 34개소, 특정도서 219개소, 국립공원 21개소를 지정(’14년말)하는 등 보호지역 확대 추진 - .. 2021. 2. 10.
‘제3차 야생생물보호 기본계획(2016~2020)’ 주요과제 ‘제3차 야생생물보호 기본계획(2016~2020)’ 주요과제 1) 수립배경 ∙‘국가환경종합계획’ 및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등 상위계획과 연계하여 수립하는 야생생물 보호와 서식환경 보전을 위한 법정계획 2) 주요과제 (1) 야생생물 보호와 관리체계화 ∙제2차 멸종위기 야생생물 복원 종합계획 수립·이행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호 및 복원 체계화 ∙기후변화 대응 야생생물 보호기반 확대 ∙위해 외래생물 관리 강화 ∙야생동물 사고 예방 및 구조·치료 확대 ∙야생동물 질병 관리체계 구축 (2) 서식지 보전과 복원 강화 ∙서식지 보호 및 체계적 관리 ∙한반도 생태네트워크 보전·복원 확대 ∙국가/지자체/기업/주민이 협력하는 서식지 보호·관리 거버넌스 구축 (3) 야생생물종, 서식지조사, 활용체계 개선 ∙야생생물종 조사.. 2021. 2. 10.
제1차 화학물질관리기본계획(‘16 ~ ‘20) 제1차 화학물질관리기본계획(‘16 ~ ‘20) 1. 비전 - 화학사고 걱정없는 안심사회 실현 2. 목표 ※ 화학물질 안전관리의 기반을 완비하고 사업장 안전문화를 정착 - 취급시설 안전강화 - 대, 중소기업 화학안전공동체 확대 - 지역사회 비상대응계획 수립 비율 3. 추진전략 (1) 촘촘한 관리 - 취약부분과 사각지대 해소 - 현장적용성 제고 -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 구축 (2) 철저한 대비 - 사고대응 역량 제고 - 사고대응체계 효율화 - 화학사고 대응기술 개발 R&D 추진 (3) 신속한 대응 - 화학사고 신속 대응체계 확립 - 지역별 비상대응체계 확립 - 과학에 기반한 사후조치 체계 구축 (4) 폭넓은 참여 - 정보 공개와 주민 알권리 강화 - 정부-지자체-사업장 거버넌스 구축 - 사업장간 협력 제고 .. 2021. 2. 9.
100대 국정과제중 ‘61 신기후체제에 대한 견실한 이행체계 구축 (환경부)’ 100대 국정과제중 ‘61 신기후체제에 대한 견실한 이행체계 구축 (환경부)’ (1) 과제목표 ∙’21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 대비 상당한 수준 감축 실현 ∙기후변화 리스크를 예측ㆍ관리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사회 구현 (2) 주요내용 ① 지속성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상을 강화하여 사회·경제 전반의 지속성 제고 및 기후·대기·에너지정책 통합성 제고 - ’18년 2030 지속가능발전 국가목표·비전 및 이행전략 수립·확정 ② 온실가스 감축 강화 ∙배출권거래제 정상화 등 온실가스 배출증가 억제 - 배출권거래제 전담부서 조정 추진 및 배출권 할당계획 확정 - 에너지 세제 개편,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로드맵’ 수정·보완 - 제로에너지 건물 확대, 중·대형차 온실가스 기준 신설, 공공기관 배출량 30% 감축.. 2021. 2. 9.
100대 국정과제중 ‘59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환경부)’ 100대 국정과제중 ‘59 지속가능한 국토환경 조성 (환경부)’ (1) 과제목표 ∙보전과 이용이 조화되고 사람과 동물이 공생하는 국토 환경 조성 ∙4대강 재자연화와 통합 물관리로 이ㆍ치수가 조화되는 하천조성 (2) 주요내용 ① 국토보전ㆍ이용 조화 ∙난개발 차단을 위한 국토관리 패러다임 전환 - ’18년부터 환경영향평가 비용 공탁제 등 평가제도 혁신 * 공탁제 : 사업자가 제3자 공인기관에 평가비용을 선납부하고 공인기관이 평가대행사 선정 - 보전총량 설정(’19년) 및 훼손가치만큼 복원ㆍ대체 의무화(’18년) ② 동물복지 ∙반려동물지원센터 설치, 유기동물 입양 활성화, 길고양이 중성화사업 지원 등으로 동물 보호수준 제고 ③ 4대강 재자연화 ∙6개 보 상시 개방 후 정밀조사ㆍ평가를 거쳐 재자연화 추진 - ’.. 2021. 2. 9.
100대 국정과제중 ‘미세먼지 걱정 없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환경부)’ 100대 국정과제중 ‘미세먼지 걱정 없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환경부)’ (1) 과제목표 ∙미세먼지 발생량을 임기 내 30% 감축하고 민감계층 적극 보호 (2) 주요내용 ① 원인규명 및 예보정확도 제고 ∙환경위성 발사, 측정망 확충, 한중 공동 연구 등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 - ’20년까지 도심 측정소 대폭 확충 및 고농도 시 예보정확도 74% 달성 ② 발전ㆍ산업부문 감축 ∙석탄발전 축소, 사업장 배출규제 강화 - ’17년부터 봄철 노후 석탄발전소(8기) 일시 가동중단 및 신규 건설 불허 - ’18년 사업장 먼지총량제 시행 및 배출허용기준 20% 이상 강화 - 임기 내(’22년) 30년 이상된 노후 화력발전소(10기) 전면 폐쇄 ③ 경유차 단계적 감축 ∙경유차 비중 축소 및 친환경차 비중 확대.. 2021. 2. 9.
728x90
반응형
LIST